민주노총 제주본부와 전국택배노조 제주지부가 12일 오전 제주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민주노총 제주본부와 전국택배노조 제주지부가 12일 오전 제주시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정미송 기자 | 쿠팡의 제주지역 새벽배송 중 사망한 30대 택배기사를 둘러싸고 책임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사망 원인을 두고 민주노총과 협력업체 간의 진실 공방이 벌어지는 가운데, 경찰은 사고 당시 음주운전 가능성을 부정하며 조심스러운 자세를 보이고 있다.

쿠팡의 물류 자회사 쿠팡CLS의 협력업체 대표 A씨는 최근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민주노총의 악의적 주장으로 하루아침에 악덕 기업으로 낙인찍혔다”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그는 “사고 원인이 무엇이든 고인의 명복을 빈다”면서 “장례 지원 및 유족 지원 방안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A씨는 “사고 당일 기준 고인은 발인 후 50시간 넘는 휴식을 취한 뒤 출근했으며, 15일 연속 근무는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또한 “카카오톡 내용을 왜곡해 마치 장례 직후 출근을 강요한 것처럼 보도됐다”고 반박했다. A씨는 “B씨와 동료 C씨의 음주운전 관련 공익제보가 접수돼 경찰 수사를 요청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경찰은 해당 의혹을 일축했다. 사고 당시 출동한 경찰관이 현장에서 B씨에 대해 음주 측정을 진행했으며, “알코올 성분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공식 확인했다. 경찰은 졸음운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제주본부 임기환 본부장은 “사망 원인을 왜곡하고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임 본부장은 “책임 회피를 위해 유족과 고인을 음주자로 몰아가는 주장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유족 진술과 노동환경에 기반한 진상 규명만이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민주노총은 “협력업체는 고인의 노동 실태 전반을 공개하고, 책임 있는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사고는 지난 10일 오전 2시9분께 제주시 오라동 인근 도로에서 발생했다. 새벽배송을 마치고 복귀하던 B씨의 1톤 트럭이 전신주를 들이받았고,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당일 밤 끝내 사망했다.

현재 경찰은 졸음운전을 주된 원인으로 보고 사고 당시 차량 블랙박스, 운행기록 등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