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 카카오맵이 최근 ‘톡친구 위치 공유’ 기능을 ‘친구위치’로 개편하면서, 예기치 못한 사생활 침해 논란에 휩싸였다.
2019년 첫 출시된 이후 6년 만의 대대적 기능 확대지만, 이번 업데이트가 직장·연애 관계 등에서 감시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온라인상에서는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개편의 주요 변화는 위치 공유 가능 시간을 기존 1시간에서 무제한으로 연장, 위치 숨기기 기능 추가, 카카오톡 내 친구위치 초대 기능 탑재, 감정 이모티콘, 앱 내 채팅 기능 강화 등이다. 특히 무제한 위치 공유 기능은 상대방의 공유 종료 전까지 실시간 위치를 계속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카카오는 해당 기능이 “100% 사용자 동의 기반”이라며 사생활 침해 우려는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위치 공유는 본인의 명시적 동의가 있어야만 시작되며, 언제든 공유를 해제하거나 ‘내 위치 숨기기’ 기능으로 일시적으로 비공개 설정도 가능하다.
카카오는 “자녀 보호, 연인 간 소통, 운동·등산 동호회 모임 등 실생활 활용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한 이용자는 “사적인 관계에서 공유 요청을 받으면 사실상 거절이 어려워 강제성이 느껴진다”며 “감시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업무 현장에서 팀원 간 상호 공유 요청이 새로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사실 위치 공유는 구글, 인스타그램, 스냅챗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도 제공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이번 논란은 카카오톡이 국민 메신저로 자리한 가운데, 최근 친구 탭 개편 및 앱 전반의 사용자 환경 변화가 이어지면서 이용자의 불만과 피로감이 축적된 시점에 겹쳐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위치 공유 기능 자체는 새롭지 않지만, 카카오톡처럼 일상에 깊숙이 들어온 앱이 기능을 변경하면 사용자 체감 변화가 훨씬 크게 다가온다”며 “기능 자체보다 시기와 맥락이 이번 논란을 키운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카카오는 앞으로도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이용자 설정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능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