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교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김필수 교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현재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가 심상하지 않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 등 미래 모빌리티로 시장이 변하면서, 업계 주도권을 싸움이 더욱 치열하다.

미래 모빌리티가 단순한 전기차에서 도심형 항공모빌리티(UAM), 로보빌리티(Robobility) 등으로 확대 가능하고, 복잡적인 특성을 가져 미래 시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미래 모빌리티를 구성하는 전기차, 배터리, 자율주행기술, 커넥티드기술, 차량용 반도체 가운데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배경이다.  모두 국가 경쟁력 요소라서다.

현재 우리나라가 미래 모빌리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을 중심으로 한 민간 영역이지, 정부의 몫은 아니다.

아울러 미래 모빌리티 가운데 배터리 소재나 각종 원자재 등에 대한 중국 의존도가 워낙 높아 다소 심각한 상황이다. 중국이 강력한 독점적 지위를 악용해 게르마늄 등 희귀 금속을 비롯해 배터리의 기본 원료인 흑연의 수출을 통제하면서 시장이 뒤틀리고 있어서다.

실제 중국이 요소 수출을 금지로, 국내 시장이 요소수 난으로 이미 요동했고, 최근에는 중국이 요소를 수출허가 품목이 확정해 우리나라가 역시 큰 타격을 받았다.

이 같은 자원민족주의를 중국 등 주요국이 강화하고 있어, 우리나라처럼 자원 빈국은 눈을 뜨고 당할 수밖에 없다.

우리 경제를 외풍이 좌우한다는 의미이자, 정부가 수입 다변화 등 체계적인 대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이유다.

미국과 중국 간의 경제 갈등 등에 따른 신냉전이 확산하면서 세계 경제 위축이 가속화 한 점도 우리에는 악재다.

현재 정부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통해 자원민족주의와 보호무역 등을 극복하고 있지만, 어려움은 여전하다.

반면, 현재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정부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산자원부 등 역할을 분담하고 있어서다.

미래 모빌리티의 경우 융합이 중요한 만큼, 조직도 융합적으로 움직이고 체계적이어야 한다. 부처에 산재한 역할을 통합하고, 산학연관의 협조가 시급한 부분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미래 모빌리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을 중심으로 한 민간 영역이지, 정부의 몫은 아니다. 세계에서 인기인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6 . [사진=정수남 기자]
현재 우리나라가 미래 모빌리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을 중심으로 한 민간 영역이지, 정부의 몫은 아니다. 세계에서 인기인 현대차 전기차 아이오닉6 . [사진=정수남 기자]

매 정권이 국토교통부를 국토주택부로 전환해 부동산 전문 조직으로, 산업통산자원부와 환경부를 묶어서 가칭 미래 모빌리티부를 각각 구성해야 한다고 천명했지만, 손도 못 댔다.

대안으로 각 부처의 역할을 조율할 수 있는 대통령 직속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를 제안한다.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는 세계적인 주도권 싸움을 주도할 신기술과 융합적 운영 등을 총괄해야 한다. 게다가 초격차 기술을 개발을 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시장을 선점할 전략 등도 주도해야 한다.

대통령 직속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 단순 자문에 그치는 게 아니라, 실행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것이다.

대통령 직속 미래 모빌리티 위원회가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선점하는 효과를 충분히 낼 수 있다는 점을 민관이 명심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