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 정장선 평택시장,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김정석 현대글로비스 해운사업부장, 이덕현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차]
(왼쪽부터)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 정장선 평택시장,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김정석 현대글로비스 해운사업부장, 이덕현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차]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와 손잡고 평택항을 국내 대표 ‘탄소중립 수소항만’으로 탈바꿈시키는 수소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시청에서 정장선 평택시장,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 김금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 직무대행, 켄 라미레즈 현대차그룹 에너지&수소사업본부장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 기아, 현대글로비스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와 평택시, 평택지방해양수산청, 경기평택항만공사 등 지자체·공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대규모 협력 사업이다. 협약 당사자들은 평택항을 중심으로 국가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현대글로비스 사업장 내 수소 연료전지(FC) 발전기 도입 및 기술 개발,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 조성, 수소 항만장비·수소트럭·수소충전소·수소 및 암모니아 벙커링 등 친환경 전환, 수소 기반 AMP(육상전력공급장치) 도입 확대 등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현대차는 수소 관련 사업 총괄을, 기아와 현대글로비스는 수소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담당한다. 평택시는 수소 배관 인프라와 제반 행정, 평택지방해양수산청은 인허가 및 제도 개선, 경기평택항만공사는 규제 완화 등 역할을 분담하게 된다.

켄 라미레즈 현대차그룹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해양수산부의 ‘수소항만’과 국토교통부의 ‘수소도시’ 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모범적인 민관 협력 모델”이라며 “특히 평택항에서 국내 최초로 수소 기반 친환경 전력공급 인프라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편, 평택시는 1기 수소도시로 선정된 이후 평택항 인근 수소 생산 단지와 경기경제자유구역(포승지구) 간 약 15km 길이의 수소 배관망 구축을 계획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부터 국내 최초 수소 기반 차량운반용 트럭(카트랜스포터)을 아산공장과 평택항 간 약 40km 구간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