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오는 11월 18일까지 진행되는 인구주택총조사 기간을 노린 피싱 사기 사례가 우려되는 가운데,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가짜 조사원을 사칭한 개인정보 탈취 시도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국가데이터처는 10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최근 가짜 조사원이 조사 명목으로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신용카드 정보를 묻는 피싱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며 “정식 조사원은 주민등록번호 13자리 전체, 금융정보 등을 절대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현재 인구주택총조사는 지난 1일부터 전국에서 일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인터넷, 전화 참여 외에 직접 가구 방문 조사도 병행된다. 이 때문에 대면조사를 악용한 범죄 시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계 당국은 조사요원 신분 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정식 조사원 여부는 인구주택총조사 공식 홈페이지, 콜센터, 지방 통계상황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원이 제시하는 '통계조사요원증'도 반드시 육안으로 확인해야 한다.

특히 국민에게 발송되는 안내 문자나 카카오톡 메시지에는 일체의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되지 않으며, 이를 가장한 클릭 유도 메시지는 피싱 가능성이 높다고 국가데이터처는 경고했다.

한편, 약 3만 명에 달하는 조사원의 현장 활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조사원 신변 안전을 위한 보호조치도 함께 강화되고 있다.

모든 조사원은 태블릿PC를 통해 생활안전지도(행안부), 순찰신문고(경찰청), 음성녹음기 등 안전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위급 상황에서는 태블릿 내 ‘긴급 호출’ 기능을 통해 GPS 위치가 즉시 관할 시·군·구 공무원과 조사관리요원에게 전송된다.

국가데이터처는 이 외에도 조사원에게 손전등·전자호루라기 등 안전용품을 지급하고, 야간 가구 방문 시에는 반드시 조사관리요원과 동행토록 지침을 내렸다. 또 조사원의 개인 휴대전화번호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도 태블릿PC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김서영 인구총조사과장은 “국민의 안전과 조사원의 신변보호를 모두 고려해 다층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했다”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조사를 위해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