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수입차 업계 1위인 독일 BMW가 여전히 공공의 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수도권 도시 주택가에서 최근 04시경 카메라로 잡았다.

BMW 중형 경유 차량인 520d가 인도를 막았다. 520d 앞 가게가 밤 9시까지 영업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 520d가 밤새 보행을 방해한 셈이다. [사진=정수남 기자]
BMW 중형 경유 차량인 520d가 인도를 막았다. 520d 앞 가게가 밤 9시까지 영업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 520d가 밤새 보행을 방해한 셈이다. [사진=정수남 기자]

한편, 정부가 2005년 경유 승용 재판매를 허용하자, 프랑스 푸조가 같은 해 상반기 407HDi를 앞세워 국내 경유 승용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이후 폭스바겐과 크라이슬러가 대형 세단 페이톤과 300C를 각각 투입했다.

당시만 해도 경유 차량이 지구 온난화를 부추기는 이산화탄소를 휘발유 차량보다 적게 배출해 친환경 엔진으로 불려서다.

다만, 시장은 개점휴업 상태.

그러다 BMW가 2010년 대형 세단 7시리즈에 이어, 이듬해 중형 세단 520과 320 경유 차량을 각각 선보이면서 국내 경유 승용 전성기를 이끌었다.

이를 고려해 현대자동차도 중형 아반떼 경유 차량 등을 선보였으며, 일본 닛산도 자국에서 팔지 않는 경유 세단을 한국에 내놨다. 폭스바겐과 푸조, 시트로엥 등은 한국 판매 차량을 모두 경유 차량으로 채웠다.

(위부터)푸조 407HDi, 폭스바겐 페이톤, 크라이슬러 300C. [사진=정수남 기자]

이어 2015년 9월 디젤게이트(폭스바겐의 경유 차량 배기가스 조작 사건)가 불거지면서 국내 경유 승용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정부가 경유 차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푸조와 폭스바겐 등도 경유 엔진 대신 휘발유 엔진을 탑재하기 시작했으며, 스웨덴 볼보는 2020년 경유 차량 생산과 판매를 중단했다.

반면, BMW는 현재도 520d를 한국에서 판매하고 있다.

독일을 포함한 유럽에서는 현재 경유와 휘발유 등 내연기관 차량이 사양세다. 유렵연합(EU)이 2035년 내연기관 차량 운행을 전면 금지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지방자치단체인 서울시에서 2030년부터 내연기관 등록을 할 수 없다. 서울시는 2050년부터 관내에서 내연기관차 운행을 전면 금지한다. 제주 역시 2030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등록을 받지 않는다.

최근 차량 제작 기술이 탁월해 신차 구입 후 20년을 타도 차량에 큰 문제가 없는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한국에서는 520d 등 내연기관차를 운행할 수 있는 점도 BMW의 이 같은 행보에 힘을 보태고 있다.

현재 주요국은 경유 차량이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경유 차량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BMW는 5시리즈에는 휘발유 차량도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