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 국내 최대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인 이지스자산운용의 새 주인을 놓고 한화생명과 흥국생명이 최종 경쟁 구도를 형성하며 본격적인 인수전에 돌입했다. 가격 경쟁력과 자금 조달력, 그룹 내 시너지 전략이 맞붙는 구도다.
지난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달 11일 마감된 이지스자산운용 본입찰에는 한화생명, 흥국생명, 그리고 글로벌 사모펀드 힐하우스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그러나 업계는 실질적 인수 유력 후보로 두 보험사를 지목한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운용자산(AUM) 기준 약 67조 원 규모를 자랑하는 국내 부동산펀드 시장 1위 기업으로, 오피스·물류센터·데이터센터 등 상업용 자산 운용에 강점을 갖고 있다.
보험사들이 이지스 인수전에 뛰어든 배경은 분명하다. 저금리·저성장 기조 속에서 수익 다변화를 꾀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체투자와 부동산 간접운용 역량 확보가 핵심 전략이 된 것이다.
특히 새 지급여력제도(K-ICS) 도입 이후 직접 보유 부동산보다 간접투자가 자본적 부담이 덜하다는 점도 보험사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요소다.
한화생명은 한화그룹의 자본 여력을 바탕으로 자기자본 중심의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한화자산운용, 한화투자증권 등 금융 계열사들과의 시너지를 통해 대체투자 전반에 걸친 플랫폼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다.
또한 이지스의 상업용 부동산 자산을 기존 포트폴리오와 결합해 운용 효율성과 장기 수익률 제고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흥국생명은 가장 높은 인수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져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최근 종로 본사 건물을 리츠에 매각해 약 7000억 원, 후순위채 발행으로 2000억 원 규모 자금 확보에 성공하면서 신속한 인수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태광그룹 전반의 투자 포트폴리오 확대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문화·소비재·금융 등 그룹 계열 전반으로 이지스의 대체투자 역량을 이식하려는 전략이 감지된다.
다만, 외부 차입 비중이 높은 조달 구조로 인해 금리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호진 전 회장 관련 사법 리스크와 태광산업에 대한 국세청 세무조사 등 악재도 존재한다.
매각 주관사인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이르면 이달 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평가 기준은 가격 제안, 자금 조달 구조, 거래 실행 가능성 등이다. 이후 대주주 적격성 심사와 실사 과정을 거쳐 연내 SPA(주식매매계약) 체결이 유력하다.
다만 매각 대상에서 일부 자회사가 제외된 점, 주주 동의 유효기간 등 법적 변수들이 향후 일정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 쿠팡 동탄 물류센터서 30대 직원 야간근무 중 사망…경찰, 부검 수사 착수
- HDC현대산업개발, ESG 통합 A등급 2년 연속 달성… 환경·사회 A+로 ‘최상위’ 입증
- CJ올리브영, '팝마트' 성수서 연말 ‘윈터 빌리지’ 대형 팝업 연다
- 스타벅스, 제22대 커피 앰배서더에 김도형 선정…‘별다방 엑스포’로 커피문화 확산
- ‘노란봉투법’ 시행 앞두고…하청노조 교섭권 확대 시행령 나온다
- GS건설, 美 이볼로와 ‘AEM 수전해 패키지’ 개발 착수…수소 플랜트 사업 본격화
- 비트코인 1억2100만 저점 찍고 반등…금리 인하 기대에 ETF 자금 유입
- 신한투자증권, 전 임직원 대상 생성형 AI 교육 실시…AI PB 성과도 가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