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교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김필수 교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기자동차 판매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가성비(가격대비 성능) 때문이다.

충전기 부족과 충전비용 인상, 높은 가격에 정부의 구매보조금 축소 등이 겹친 결과다. 게다가 전기차 화재에 대한 운전자의 막연한 두려움 역시 여기에 힘을 보탰다.

이로 인해 많은 고객이 대체재로 가성비 최고인 하이브리드차량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는 1997년 12월 토요타 프리우스가 나오면서 포문을 열었다.

프리우스는 이후 28년간 지속적인 개선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합리적 가격, 고연비, 배출가스 저감 등 다양한 강점으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에 맞서 하이브리드 시장을 선도하면서, 오늘에 이른 인기 차량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 친환경에 역행하는 내연기관차와 여전히 단점이 많은 전기차를 대신하는 선택지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다만, 하이브리드차의 배터리 용량이 적어서 전기로만 달릴 수 있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고, 엔진 가동에 따른 오염원 배출로 온전한 친환경차량의 범주에 들지 못한다.

오히려 전기차에 가까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가 무공해차의 범주에 더 가깝다.

현재 반사이익으로 하이브리드차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이 기간이 길어야 3~4년 정도다. 업계 1위인 미국 테슬라 등 주요 완성차 업체가 반값 전기차를 목표로 전기차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서다.

이를 고려해 주요 완성차 업체가 전기차에 가까운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에 주력할 전망이다.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는 하이브리드차에 대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 전기와 석유를 연료로 달린다. 전기로만 40~50㎞를 주행할 수 있어, 출퇴근시 적합하다.

1997년 12월 나온 토요타 프리우스는 그동안 세계 하이브리드 시장을 주도했다. [사진=스페셜경제]
1997년 12월 나온 토요타 프리우스는 그동안 세계 하이브리드 시장을 주도했다. [사진=스페셜경제]

우리의 경우 현대차 등이 이미 10년 전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를 판매했으나, 적은 구매보조금 등으로 내수보다는 해외에서 더 인기다. 수입차 가운데도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가 있지만, 역시 적은 구매보조금으로 내수가 많지는 않다.

현재 독일 등 유럽의 경우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의 시장 점유율이 15% 이상이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정부가 구매보조금을 높여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를 활성화해야 한다. 

자동차 시장이 단기간에 전기차로 넘어가기에는 소비자에 부담이라서다.

정부의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최적의 정책 수립과 시기적절한 시행이 중요한 이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