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대출 규제가 강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청약시장은 지난달에도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활기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금 마련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직방이 17일 발표한 ‘10월 민영 분양주택 청약시장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1순위 청약 경쟁률은 평균 8.1대 1을 기록했다. 이는 9월(4.1대 1)의 두 배 수준이다. 전체 26개 단지 중 1순위 마감 단지는 15곳(57.7%)으로 전월(50.0%)보다 상승했다.

서울 청약시장은 특히 규제 전 분양 단지를 중심으로 열기를 보였다.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은 무려 326.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도 237.5대 1로 뒤를 이었다. 두 단지는 모두 고급 주거지와 교통 요건 등에서 뛰어난 입지를 확보해 수요자의 관심을 끌었다.

경기권에서는 ‘더샵 분당 티에르원’이 100.4대 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김포·안양 등 비규제 지역에서도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17.4대 1), ‘중앙하이츠 포레’(7.1대 1) 등이 비교적 양호한 청약 성과를 냈다.

지방의 경우 희소성과 배후수요가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전 ‘도룡자이 라피크’는 15.9대 1, 구미 ‘두산위브더제니스 구미’는 8.8대 1로 나타났다.

하지만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줄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 보유자는 약 2635만명으로, 1월 대비 9만명 감소했다. 1순위 자격 보유자도 1761만명에서 1737만명으로 줄었고, 대신 2순위 청약자는 소폭 증가했다.

직방 관계자는 “강력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수도권 핵심 입지는 여전히 청약 열기가 뜨거웠다”며 “전반적으로는 무작정 청약에 나서는 분위기에서 옥석을 가려 청약하는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