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LG가 우주항공산업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LG사이언스파크는 14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우주산업 협력을 논의하고 자체 부탑재위성(큐브위성) 발사 계획을 공유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6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간담회에 이은 두 번째 공식 만남이다.
이날 회의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를 비롯해 김민수 기술전략담당, 박태홍 글로벌 O/I실장 등 LG의 주요 기술경영진이 참석했다. 우주항공청 측에서는 윤영빈 청장, 노경원 차장, 한창헌 산업국장이 함께 자리했다.
LG는 간담회에서 통신모듈, 카메라, 배터리, 가전, 디스플레이, 데이터센터 등 LG가 축적해 온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우주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LG사이언스파크를 R&D 허브로 삼아 혁신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LG는 자체 큐브위성 발사를 위한 기술 검증 계획을 수립 중이며, 오는 2028년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큐브위성은 10×10×10cm 크기의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지구 관측이나 기술 검증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된다.
LG는 이미 누리호 4차 발사에 큐브위성 컨소시엄을 통해 참여한 바 있으며, 향후에는 독자적인 위성을 발사함으로써 우주항공 시장 진입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정수헌 대표는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기원하며, LG도 다양한 부품을 통해 기술력을 검증하겠다”며, “우주산업은 미래 준비 영역 중 하나로,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이기는 기술(WINNING TECH)’을 확보해 국가 우주개발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도 최근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협력해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에 착수했다. 사우스8은 세계 최초로 액화 기체 전해질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으로, 이번 협력은 NASA가 추진하는 ‘항공우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6년에도 NASA의 우주복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된 바 있다.
LG의 우주산업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2023년에는 국내 유일의 달 탐사 로버 개발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를 육성 대상으로 선정하고,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올해 1월 LG기술협의회에서는 LG 각 계열사 기술진이 우주산업의 기회와 가능성을 논의하기도 했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항공시장 규모는 2024년 4,766억 달러에서 2034년 1조 121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7.86%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LG의 발 빠른 움직임이 글로벌 우주시장 진입의 교두보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