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이 기존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며, 사회적가치를 중심에 둔 '새로운 자본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자원을 재배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는 점을 역설했다.
최 회장은 21일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개막한 '도쿄포럼 2025' 기조연설에서 "자본주의는 그간 재무적 가치에만 집중해 사회 양극화와 환경문제 등 주요 이슈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이제는 사회적가치를 측정·관리하고 이를 경영에 반영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도쿄대가 공동 주관하는 국제행사로, 올해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열렸다. 기술혁신, 지정학, 사회구조 문제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최 회장은 특히 AI 기술을 통해 사회적가치 측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과거에는 측정 자체의 비용이 높고 데이터가 부족했지만, 디지털 기술과 AI의 발전으로 거래비용을 줄이며 정밀한 사회가치 평가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SK그룹이 계열사 단위에서 시행 중인 사회적가치 측정 사례도 공개했다. 일자리 창출, 납세, 환경 기여 등 다양한 항목을 정량화해 플러스·마이너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의사결정 구조를 바꾸는 핵심 기준이 된다고 전했다.
"이제 KPI(핵심성과지표)는 단순 재무 성과에 머물지 않는다"며 "매년 사회적가치를 훼손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지속적으로 높여가는 방향으로 자원 배분의 기준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열린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도 패널로 참석한 최 회장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은 반드시 재무성과와 사회적가치의 균형 위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며 기업·학계·정부의 협력을 촉구했다.
이번 포럼에는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 마리안 베르트랑 시카고대 석좌교수, 고지마 후히토 도쿄대 교수, 김병연 서울대 교수 등 각국 경제·학계 인사들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