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고리 2호기가 멈춰 선 지 2년 반 만에 계속운전 승인을 받아 재가동 절차에 들어간다. 계속운전을 신청한 10기 원전 중 첫 승인 사례가 나오면서 나머지 원전들에 대한 허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다만 고리 2·3·4호기에 이어 한빛 1호기까지 가동 만료로 멈출 상황이어서 전력 공백을 막기 위한 신속한 인허가 절차가 요구된다.
14일 원전 당국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날 열린 제224회 회의에서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안을 재적 6명 중 5명의 찬성으로 의결했다.
원안위는 구조물·계통·기기의 수명평가, 설비 교체 계획 등을 검토한 결과 충분한 안전여유도가 확보됐다고 판단했으며,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서도 중대사고를 포함한 안전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했다.
승인에 따라 고리 2호기는 오는 2033년 4월 8일까지 운전이 가능해졌고, 한수원은 내년 2월 재가동을 목표로 설비 교체와 현장점검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한다. 고리 2호기는 1983년부터 가동됐으며, 40년 설계수명 만료로 2023년 4월 운전이 중단된 상태였다.
문제는 승인 지연으로 이미 가동이 멈춘 원전이 줄줄이 대기 중이라는 점이다. 고리 3·4호기는 각각 지난해 9월과 올해 8월 운전허가 기간이 만료돼 정지됐고, 한빛 1호기도 다음 달 가동 연한이 끝나 중단이 불가피하다.
한수원은 고리·한빛·한울·월성 원전 총 10기에 대한 계속운전 절차를 추진 중이며, 이 가운데 PSR 보고서는 전량 제출했고 일부는 운영변경허가 신청도 완료됐다.
월성 2·3·4호기는 주민 의견 수렴까지 마쳐 운영변경허가 신청 준비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다. 업계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신청 ‘골든타임’을 놓친 영향이 컸다며, 최대 10기에서 운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계속운전 지연은 경제적 손실도 크다. 한수원은 10기 원전이 계속운전할 경우 지난 10년간 원자력 전력 판매량을 LNG로 대체했을 때 기준 약 107조60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전대욱 한수원 사장직무대행은 “계속운전은 AI·데이터센터 등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는 안정적 공급원이며 국가 경제와 탄소중립 실현에 핵심 역할을 한다”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리 2호기 적기 재가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