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사상 최장인 6주째로 접어들며 연방 기능이 마비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원의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 규정을 폐지하라며 공화당 지도부를 강하게 압박했다.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존 튠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에게 필리버스터를 끝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며 “대통령은 ‘의사진행 발언을 중단시켜 연방정부를 다시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공화당이 상원에서 민주당 반대를 돌파하기 위해 60표 요건을 없애는 방향으로 상원 규칙을 바꾸라고 압박했다.
하지만 공화당 지도부는 “법과 원내 규칙을 무시할 수 없다”며 난색을 보였다. 이 제도는 과거 공화당이 소수당이던 시절 민주당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기도 하다.
셧다운 장기화로 저소득층 급식 지원(SNAP)이 중단되거나 중단 위기에 놓이자 백악관은 민주당을 향해 “미친 사람들(crazed people)”이라 비난하며 책임 공세를 강화했다. 민주당은 “복지예산 삭감 철회 없이는 예산안을 통과시킬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현재 상원 의석은 민주 53석, 공화 47석으로 팽팽한 구도다. 민주당은 복지혜택 확대를, 공화당은 셧다운 해제 후 협상을 주장하며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공화당은 민주당 의원 5명만 이탈해도 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며 막판 표심을 설득하고 있지만, 민주당 중도파조차 “실질적 양보는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셧다운이 33일째 이어지며 2019년 트럼프 1기 정부 때 기록했던 35일 최장 기록에 근접했다. 항공관제사 등 필수 인력의 급여 중단과 급식 중단 사태가 이어지면서 사회적 피해가 확산되는 가운데, 이번 주 미 의회의 협상 결과가 셧다운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