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부활하는 금융감독원 종합검사 세부방안이 4월 초쯤 금융위원회에 보고될 예정이다. 보고 일정이 늦어져 실제 금감원이 검사에 착수하는 시점은 빨라야 5월 중일 것으로 보인다.


[스페셜경제=김봉주 기자]올해 부활하는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를 앞두고 금융권에서는 검사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 점검으로 분주하다.


17일 금융원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르면 오는 4월 시작되는 금감원 종합검사를 위해 금융권에서는 사전 점검에 뛰어들었다.


금감원은 네 가지 공통지표를 기본으로 종합검사 대상기업을 선정할 방침이다. 공통지표는 금융소비자 보호, 건전성,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시장영향력 등이다. 현재 예상되는 금융기관 수는 25개 안팎이다.


기존 종합검사는 검사 역 수십 명이 금융회사의 밑바닥부터 쓸어버리는 그물식 검사로 금융회사들을 두려움에 떨게 했다. 새로운 종합검사는 선정기준에 미달하는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진행돼 금융회사들의 불만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하지만 당사자인 금융회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2018년 5월 취임한 뒤부터 즉시연금과 키코(KIKO)로 대립하는 시중 은행과 보험사들은 더욱 긴장하는 눈치다. 특히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을 포함한 4대 시중은행은 모두 채용비리 혐의로 어려움을 겪었고, 삼성생명 등은 금감원이 권고한 즉시연금 지급을 거부, 소송을 진행하는 상황이다.


윤석헌 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대형사가 모범을 보여줬으면 하지만 우리 희망과 달리 만족스럽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강하게 대형사를 비난했다.


주요 시중은행과 대형 보험회사는 이미 종합검사와 관련해 모든 시나리오를 가정한 지점 미스터리 쇼핑부터 내부 실태조사 등 자체 점검을 시행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거 종합검사를 담당했던 금감원 출신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만 해도 주재성 전 은행담당 부원장과 박병명 전 국장이 금융권에 영입됐는데, 이들은 금감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취약한 부분을 짚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나 정치권을 포함한 힘있는 기관 출신도 활발히 금융권에 영입되고 있다. 메리츠금융지주는 한정원 전 청와대 정무수석실 행정관을 브랜드전략본부장으로 영입했다. 황현선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은 연합자산관리의 상임 감사에 내정됐다. 종합검사에 대비하려면 힘있는 기관 출신이 필요하다는 금융권의 판단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종합검사를 둘러싼 우려와 반발에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금융관의 부실과 잘못된 관행을 축소시킬 방법을 찾는 상황이다. 과거와 같은 현미경식 종합검사를 그대로 모방하다가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금감원은 금융사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유인부합적 방식으로 바꾸고, 종합검사 실시 전후 부문 검사를 하지 않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우려 속에 다시 살린 종합검사이니만큼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에 종합검사를 철저히 준비할 태세다. 이미 금감원은 자살보험금 사태 당시 보험권의 백기투항을 받아낸 이성재 부원장이나 KB사태 때 담당 검사팀장과 하나은행 채용비리 특별검사 반장을 지낸 이근우 일반은행검사국장등 종합검사를 지휘할 베테랑을 전진배치한 상황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