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급락한 데 반해, 단위노동비용은 오히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주요 선진국의 노동생산성이 소폭 증가하고,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한 것과 상반된 결과라, 한국 제조업이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기관인 한국경제원구원은 미국 컨퍼런스보드 자료를 이용해 전 세계 41개국을 대상으로 ‘제조업 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 국제비교’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41개국 제조업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02년~2009년 연평균 3.4% 증가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2017년 연평균 3.5% 증가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한국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연 7.0% 수준이던 증가율이 2.8%로 내려앉으면서 41개국 중 28위 머물렀다. 일본(4.1%), 독일(4.0%), 프랑스(2.9%) 등 주요 선진국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아울러 41개국의 제조업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2002년~2009년 연평균 6.0% 늘었지만, 2010~2017년 연평균 1.7% 감소했다. 단위노동비용은 제품 한 개 만다는 데 소요되는 노동비용을 뜻한다.


반면 한국의 단위노동비용은 2002년~2009년 연 0.8%로 소폭 증가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2017년 연 2.2%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요 선진국들이 같은 기간 감소세로 돌아선 것과 비교해 상반된 결과다.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한국보다 단위노동비용이 빠르게 증가한 곳은 중국과 인도뿐이라, 한국 제조업 경쟁력이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며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평이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최근 제조업의 생산성 상승세가 꺾이고 단위노동비용이 늘어나면서 국제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에서 유연근로시간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 등 중요한 경제이슈를 다룰 때 생산성과 경쟁력 논의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면서 “지금은 노사정이 생산성 향상, 국제 경쟁력 확보를 우선순위로 두고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한국경제원구원)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