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게는 수 주일 소요되는 식품 유통 추적, 블록체인으로 쉽게 해결할 날이 올까?


[스페셜경제=김봉주 인턴기자]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농식품 안전 불안 해소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농식품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로 식음료 유통 과정을 검수하고 품질을 검증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분산된 공개 장부인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기술을 말한다. ‘분산원장기술’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시스템에서 벗어나 중앙감독기관 없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거래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식품 유통을 추적하는 해외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중국에서는 2008년 ‘멜라닌 분유 파동’ 이후 가짜 쌀과 달걀, 석회 밀가루, 시멘트 호두 등 식품안전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 식품 불신이 만연하다.


중국 월마트는 이런 상황을 해결하고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제품의 제조와 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시했다.


IBM·칭화대와 개발한 이 서비스는 상품의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축산업자가 돼지고기에 사물인터넷 센서를 부착하고, 사육 환경이나 방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면 가공업체가 도축·가공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어 운송 과정에서도 온도와 습도, 물리적 충격 등의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보고서는 “이전에는 식품 이력을 확인하려면 적어도 수 주일이 걸려 정보의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웠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이후 식품 이력 확인 시간에 걸리는 시간이 크게 줄어들었고 정보를 위조·변조하는 것도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중국 온라인 거래 사이트 징둥닷컴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도입해 호주산 소고기 이력 정보를 소비자에게 확인시키고 있다.


일본 미야자키(宮崎)현 아야쵸(綾町)에서는 2016년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유기 농산물 품질 검증을 실시하고 있다.


채소 포장에 QR 코드를 생산·유통업자가 부여하면, 소비자는 스마트폰으로 생산·유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재배에 쓴 토양과 재배 시기에서부터 도·소매 유통 정보까지 전부 파악할 수 있다.


미국 볼티모어 식품업체 헝그리 하베스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농산물 생산량과 유통과정의 과잉 생산량 정보를 파악해 농산물을 재가공한다.


네슬레·타이슨푸드·돌·맥코믹 등 대형 식품업체도 IBM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식품안전 강화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한국에서도 작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시범 구축해 유통 단계별 이력 정보와 증명서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중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유통 과정 추적 시간이 종전 5일에서 10분 이내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다만 “기술 개발과 시장성은 항상 병행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술이 아직 개발 단계인 만큼 블록체인 만능론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