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주 기자]연일 ‘신흥국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외화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화부채는 환율 변동에 따라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신흥국 금융 불안이 ‘도미노’처럼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신흥국의 외화부채는 8조5천억달러(약 9500조원)이며 이 가운데 달러화 표시 부채는 전체의 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8년(3조9천억달러) 대비 2배가 넘는 수치다.


외화부채의 경우 자국 통화로 빌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위험 요인이 내재돼 있다. 특히 최근 강달러가 지속되고 있어 외화부채 비중이 높은 신흥국들의 ‘도미노 위기’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국가별로 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화부채의 비중은 ▲터키 70% ▲헝가리 64% ▲아르헨티나 54% ▲폴란드 51% ▲칠레 50% 등으로 집계됐다.


이렇듯 신흥국의 외화부채 비중이 높은 것은 미국 등 선진국이 수년간 양적완화정책을 펼치면서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함에 따라 신흥국에 외국인 투자자금이 밀려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터키 리라화, 아르헨티나 페소화의 가치 급락 등 신흥국 통화가치마저 급락하면서 신흥국 전반에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아르헨티나의 페소화는 올해 초부터 최근까지 무려 47% 떨어져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한 상태다. 같은 기간 터키 리라화 역시 28% 가량 떨어졌다.


문제는 미국의 금리 인상, 달러화 강세 등으로 신흥국이 자본 유출, 통화가치 하락 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정부와 기업의 상환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국제금융센터는 달러 강세, 글로벌 무역 전쟁 장기화 등에 따라 외화부채 상환 부담이 큰 신흥국을 중심으로 ‘채무불이행’이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각국의 외환보유액 대비 향후 3년간 달러화 부채 만기 비율을 고려하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터키 등의 외화 조달 압력이 특히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화부채의 비중은 41%로 무역의존도에 비해 상환 능력이 견실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신흥국 통화 가치 폭락으로 지난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같은 사태가 도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