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지난해 기업이 자발적으로 ‘리콜’을 시행한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이 제품의 하자를 인정하고 자발적 리콜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25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8년 리콜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리콜 건수는 2220건으로, 전년 1404건 대비 816건(58.12%) 증가했다.

리콜 건수가 대폭 늘어난 것은 전반적인 리콜 건수의 증가와 함께 지난해 의약외품·의료기기·생활방사선 안전기준 결함 가공제품에 대한 리콜 시적이 새롭게 통계에 추가됐기 때문이다.

리콜 유형별로는 자발적 리콜이 962건으로, 전체 리콜 건수의 43.33%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리콜을 권고한 건수는 184건(비중 8.29%)이었으며 리콜 명령을 내린 건수는 1074건(48.38%)으로 조사됐다.

자발적 리콜 비율은 매년 늘고 있다. 2016년에는 1603건 중 556건으로 34.68%을 차지했던 자발적 리콜 비율은 2017년 37.68%(1404건 중 529건), 2018년 43.33%(2220건 중 962건)으로 증가했다.

공정위는 자발적 리콜 비율 증가에 대해 “소비자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기업들이 결함 제품의 자발적 리콜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려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품목별 리콜 현황을 살펴보면 공산품이 68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약품 344건, 의료기기 330건, 자동차 311건 등의 순이었다.

의약품은 2017년 기준 자진리콜이 23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210건으로 크게 늘었다, 반면 정부의 리콜 명령에 따라 시행한 건수는 2017년 202건에서 지난해 134건으로 줄었다.

의료기기에 대한 자진리콜도 지난해 246건으로, 전년 180건 대비 66건 증가했고, 리콜 명령에 의한 리콜은 감소했다. 자동차의 경우도 자진 리콜은 늘었고 리콜 명령 건수는 줄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자발적 리콜 비율이 역대 최고였다”며 “이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스페셜경제 / 김다정 기자 92ddang@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