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삼성그룹 금융계열사 사장단과 정기 임원인사가 끝났다. 연령을 보면 사장뿐만 아니라 부사장이나 전무, 상무 등 임원들도 대부분 50대다.

삼성그룹 인사에 ‘60세 룰’이 적용되면서 40대 중후반의 부장급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제조업 등 타 계열사에 비해 직급 체류기간이 긴 금융 계열사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적으로 삼성생명이나 삼성화재 등은 48~49세에 임원 승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사인 한화생명이나 교보생명,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의 임원 승진은 일반적으로 50대 초반에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소 빠른 감이 있지만, 삼성 그룹 안의 다른 계열사와 비교하면 2~3년 정도 늦은 수준이다.

이처럼 인사 적체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삼성금융계열사에선 50세에 임원으로 승진을 못 하면 임원 달기 어렵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나이에서 6년 이상 파트장을 맡고도 임원을 못 달면 임원 승진을 포기하고 회사를 다니거나 퇴직한다는 것이다. ‘60세 룰’에 이어 ‘50세 룰’까지 생길 정도로 50세가 전환점이 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특히 50세 전후에 가까스로 임원으로 승진하게 되더라도 내부승진으로 최고경영자(CEO)가 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승진 임원들의 경우에도 1969년생으로 만 51세인 상무가 대거 포함됐다. 상무로 6년, 전무로 3년, 부사장으로 3년 등 통상적인 임원 승진 과정을 거치고 나면 부사장을 마쳤을 때는 이미 60세가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제 ‘샐러리맨의 신화’는 점점 보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 등의 분석이다. 1980년대 입사자는 입사 7년차에 과장, 16년차에 부장으로 진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1990년대 입사자는 20년차도 부장으로 진급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과 동일한 인사 원칙이 적용되게 되면 일반적인 금융 CEO 양성 플랜을 통해서는 금융계열사에 50대의 내부 승진 CEO 사례는 사실상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권 특성 상 직급 체류 기간이 길어 누락 없이 진급을 해도 50세에는 퇴직을 걱정해야 할 확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