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홍찬영 기자]일본 정부의 추가 보복조치의 일환으로 일본계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국내로 들어온 일본계 금융자금의 규모는 최대 53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이는 국내은행 전체여신의 2%에 불과한 수치여서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한국으로 들어온 일본계 자금의 규모는 최대 52조9천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일본 투자자가 보유한 국내 주식 13조원과 일본계 은행의 국내지점 총여신 24조7천억원 등을 합산한 금액이다.

일본계 자금 규모를 보수적으로 산정할 경우 39조3000억원 수준이다. 국제투자대조표 상 일본의 기타투자 금액과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여신이 겹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로 들어온 일본 자금은 작게는 39조3000억원, 많게는 52조9000억원으로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국내 증시와 채권시장에 투자된 14조6000억원 규모의 직접 투자 자금은 큰 문제거리가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아 시장을 크게 흔들 만큼 큰 규모의 자금도 아니며 일본 정부가 규제를 한다 해도 움직이지도 않는 민간자금이기 때문이다.

국내 주식시장에 유입된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주식자금의 2.3%, 채권 시장 내 일본계 자금은 1.3% 수준에 불과하다.

다만 일본은행 국내지점 여신이 국내 제조업과 도소매업 곳곳으로 흘러 들어간 부분에 대해선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실에 따르면 24조 7천억원 가운데 39%인 8조 7천억 원이 국내 제조업으로, 2조 8천억원이 도소매업체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이 이 자금을 회수할 경우 대부분은 국내은행이나 다른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에서 차환할 수 있어도, 자금 수요가 몰리게 되면 조달 비용 등 마련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 관계자는 “한국 기업의 유동성 자금 대부분이 국내은행으로부터 나오고, 우리나라 은행의 자금 조달 능력에 문제가 없는 만큼 일본 정부가 금융 분야에서 보복을 단행하더라도 여유 있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제공=픽사베이]

 

스페셜경제 / 홍찬영 기자 home217@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