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크론 등 메모리반도체 시장에 빅3사의 반도체 재고자산이 크게 증가하면서 2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4분기(10~12월)부터 대규모 서버를 운영하는 정보통신 등 주요 고객들이 구매를 미루면서 반도체 재고가 쌓이고 있는 것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의 반도체 재고자산은 2017년 대비 83% 증가한 12조 7630억원, SK하이닉스도 같은 기간 67% 증가한 4조 4227억원에 달했다. 또한 마이크론의 2019 회계연도 2분기(2018년 12월~2019년 2월)말 재고자산도 1년 전에 비해서 38% 증가한 43억 9000만 달러(약 5조 46억원)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재고자산의 총 합꼐는 22조 1903억원으로 1년 전 13조 2384억원에 비해서 68%나 급증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79%, D램 시장으로 좁히면 96%를 과점하는 세 회사의 재고 급증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갑작스레 시황이 악화된 데 따른 것이다.

상반기까지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대규모 물량을 생산해냈는제, 경기가 둔화되면서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주요 수요처들이 투자를 급격하게 줄여 팔지 못하고 반도체가 쌓여가는 것이다.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가격이 떨어지는 다운사이클 시장에서 재고자산 증가는 악순환을 낳는다.

이와 관련해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재고가 쌓이면 수요처 기업들이 가격 협상에 있어서 상대적인 우위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사들이 판매가를 낮출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재고자산의 가치도 낮아지면서 평가손실로 이어져 실적도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IHS마킷 측은 “D램 가격 하락과 수요 약세가 올해 3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제조사들이 꺼내들 수 있는 카드는 감산 밖에 없다. 생상량을 줄이고 재고를 소진하고 시장의 수급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의 매출과 시장점유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양날의 칼’과 같다.

실제로 지난달 20일 마크론은 “재고 조절과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각각 5%씩 감산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감산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