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현정 기자]스마트폰과 연동된 사물인터넷(IoT)기기가 주목 받고 있다.


미국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긱스타터(KickStarter)’에선 미국 스타터업 헬로의 ‘센스’와 줄리의 ‘스마트플러그’ 등이 집중 조명됐다.


센스의 경우 최적화된 온도와 습도 정보를 전달해 숙면을 유도한다. 아울러 수면습관 분석을 통해 잠자리 환경에 대한 피드백도 가능하다.


스마트 플러그는 점등 및 소등이 잦은 기기들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한 자동 점·소등 기능도 있다.


이처럼 사물인터넷이란 용어가 나타난 것이 최근임에도 관련 서비스가 일상생활 깊숙이 자리매김 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기업간(B2B) 서비스 시장에서도 뛰어난 범용성으로 4차 산업혁명 서비스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사물인터넷 기기 제조업체와 플랫폼 조성에 나선 글로벌 IT 업체, 관련 네트워크 구축 장비업체 및 이동 통신사 등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글로벌 사물 인터넷 시장 규모가 지난 2014년(6,600억 달러)에서 6년 뒤인 2020년(1조7,000억 달러) 사이에 3배가량 상승하고 사물인터넷 관련 기기는 동 기간 100억개에서 300억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플랫폼 전쟁으로도 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최상층에서 진행되는 경쟁엔 삼성전자·애플·구글 등 내로라 하는 글로벌 업체들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스마트 폰 외에 가전제품 시장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삼성전자는 작년 전장업체 하만을 인수하고 8개 가량의 업체를 인수·합병(M&A)하며 시장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구글은 작년 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씽스’를 선보이는 등 스마트폰 OS시장의 지배력을 사물인터넷으로까지 넓히려 한다. 2014년 이후 네스트, 드롭캡 등을 인수하며 외연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애플은 iOS 기반의 아이폰·아이패드에 스마트홈 브랜드 ‘홈킷’을 통해 독자적인 생태계 구축을 시도하는 모양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토대이면서 최 하단을 놓여있는 글로벌 이통사 등 통신 사업자들의 경우 다른 업체와의 제휴 또는 자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대응속도를 높이고 있다. 영국의 보다폰은 ‘운전습관연계 보험서비스(UBI)’를 이용해 금년 말까지 4,400만명의 가입자를 받을 방침이다. 도이치텔레콤은 2011년 스마트홈 연합체 ‘퀴비콘(qivicon)’을 설립한데 이어 ‘티시티(T-City)’ 서비스를 이용해 이탈리아 등에서 교통 인프라를 다지고 있다.


미국 통신사 AT&T도 ‘비행기 내 화물(Cargo with Flights)’ 서비스를 내놨다. 이는 비행기내 주요 화물을 실시간으로 DHL과 같은 운송업체가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국내 이통사들은 여지껏 괄목할만한 서비스 및 해외 시장 진출 등과 같은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SK텔리콤은 작년 7월 사물인터넷 전용망 ‘로라 네트워크’ 전국망 구축을 완성하고 현재까지 789개 업체와 제휴를 체결했다. 태국을 위시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도 엿보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를 토대로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금년 안에 구축해 가정용 시장부터 우선적으로 성과를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