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건설사 수익성 악영향
공사비 상승 여파...주택공급 지연, 집값 상승 압력도

재건축중인 아파트 공사 현장,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현대건설 제공)
재건축중인 아파트 공사 현장,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현대건설 제공)

[스페셜경제=임준혁 기자]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금리 인상, 안전 규제 리스크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업계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새 정부가 규제완화 기조로 ‘집값 안정화’에 나섰지만, 신축 공급이 차질을 빚게 되면 집값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 GS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등 주요 건설사 4곳의 1분기 합산 예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한 10조2770억원으로 집계됐다. 합산 영업이익은 706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5% 줄었다.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악화된 요인은 건설사들의 원가비용 부담이 크게 늘고 있어서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여파로 철근, 시멘트 등 주요 건설 자재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인건비도 상승했다. 또 기준금리 인상 본격화로 회사채 금리 급등으로 인한 자금 조달 비용도 불어났다. 설상가상으로 올해 초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규제 관련 리스크까지 건설업계 전반의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형국이다.

신축 아파트 분양가도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분양가는 건물값(건축비)+땅값(토지비)으로 구성되는데, 자재가격, 안전관리비용 증가 등은 결국 건축비에 연동되게 된다. 토지가격도 크게 올랐으니, 이 역시도 분양가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공사비 증가로 인한 분양가 상승은 재건축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조짐이다. 실제 국내 재건축 사상 최대 규모인 1만2032가구를 짓는 서울 둔촌주공 재건축정비사업은 공사비 인상을 둘러싼 조합과 시공사업단의 충돌로 지난 15일부터 공사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분양 일정이 미뤄지면서 올해 서울의 주택 공급 물량 가운데 4분의 1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공사비 상승은 결국 주택 공급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고, 집값 상승 압력도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분양가가 오르면 기존의 매매 가격이 오르고,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전셋값도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마디로 시장이 불안정해진다는 얘기다.

이에 기존 정부뿐 아니라 차기 정부에선 집값 안정화를 위한 정책 과제 등에 유동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지금은 정책 개입이 필요할 때다. 안 그러면 재건축 시장이 또 올 스톱되고, 공급 차질은 기존의 집값을 또 올리게 된다”며 “단순히 분양가 상한제 상승 혹은 인하 등의 단편적인 해법보다는 단기와 장기, 건설사와 조합원 입장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 연구원은 “분양가에 대한 규제가 크면 사업성에 문제가 발생한다”며 “이는 주택공급에 마이너스로 작용할 수 있어 분양가상한제가 일부 조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