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최근 빅테크가 보험업에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정책당국이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로 인한 시장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규제 체계, 시장경쟁, 금융안정성, 소비자보호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검토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황인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빅테크(Big Tech)의 보험업 진출에 대한 기대와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빅테크는 결제·송금, 예·적금, 대출, 자산관리, 보험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대한 제공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빅테크란 대규모 고객기반을 가진 거대 IT 회사로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주력사업인 IT뿐만 아니라 금융 등 광범위한 산업으로 사업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최근 20년간 빅테크는 신생기업에서 시장지배력을 가진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해 현재 금융회사보다 시가총액, 수익성, 자금조달력 등의 측면에서 우위를 가진다.

빅테크가 비금융 주력사업에 비해 수익성이 낮음에도 금융업 진출을 확대하는 이유는 주로 고객기반 및 충성도를 제고해 주력사업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금융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변화, 빅테크의 높은 데이터 접근성과 기술적 우위 등은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을 촉진하고 있다.

금융업 진출에 있어 빅테크의 경쟁력은 금융서비스와 비금융 주력서비스의 상호보완을 통한 범위·규모의 경제에서 나온다.

황 연구위원은 "빅테크의 보험시장 진입은 보험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유도할 수 있지만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로 인한 시장실패 가능성도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들은 다양한 보험상품 및 서비스 개발, 기업 간 협쟁을 통한 효율성 제고 등 보험산업 내 경쟁 강화를 통해 보험시장 혁신을 유도하고 소비자 후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전통적 금융규제 체계로 인한 규제차익 가능성이 있고 시장경쟁·금융안정성·소비자보호 측면에서 새로운 유형의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

황 연구위원은 "특정 플랫폼이 보험상품의 판매채널을 독점하지 않도록 시장환경을 조성하고 경쟁심화로 인한 보험회사의 위험추구를 모니터링하며 플랫폼을 통해 보험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에 대한 보호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