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최근 정부와 관련부처 등이 삼성바이오로직스 비롯한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경제연구소 등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삼성그룹의 중장기 전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지난달 증권선물위원회(이하 증선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고의적인 분식회계를 저질렀다고 결론을 내리고, 검찰에 삼성바이오를 고발했다. 이와 함께 삼성바이오에 대한 상장폐지 여부도 기업심사위원회 회의를 통해서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재계에서는 삼성 옥죄기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현재 삼성은 삼성바이오 문제를 제외하고도 검찰, 경찰,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통해서 올 한 해만 11건 이상의 조사를 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검찰은 삼성의 노조 와해 의혹과 관련해서 삼성전자 본사와 삼성전자서비스 본사, 삼성경제연구원 등 10차례에 걸쳐서 압수수색을 벌이기도 했다. 때문에 삼성은 지난 2월 이재용 회장이 석방됐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사정당국의 삼성 조사가 과거와는 다른 형태를 띠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이슈가 발생하면 개별사에 대한 단순 조사만 진행됐으며, 혐의점이 있을 경우 검찰이 나서서 수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무차별적인 압수수색을 벌이거나 당초 혐의점과는 다른 별건 수사를 진행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동일한 사안에 관련해서도 서로 다른 사정당국이 동시에 조사를 진행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삼성그룹 내부의 피로감이 극에 달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심지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역시도 삼성 압박에 가세했다.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최근 발의한 공정거래법 개정안에 따르면 금융보험사에 대한 별도로 5% 한도로 의결권을 제한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특위 권고안에서 제시됐던 것으로, 공정위조차도 “규제 실익이 크지 않다”는 이유로 최종 정부안에서 제외된 바 있다. 더욱이 이 규제에 따라 실제 의결권 제한효과가 생기는 그룹은 삼성그룹 계열사인 호텔신라가 유일하다. 결국 이마저도 삼성을 겨냥한 규제인 셈이다.


이 같은 정부의 옥죄기로 인해서 삼성은 ‘사업 성장’을 위한 동력을 잃고 있는 상황이다. 대표적인 예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들 수 있다. 삼성바이오는 신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금융당국의 분식회계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를 중단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