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서 8?2부동산 대책 등 다양한 규제를 내놓았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서울 아파트의 경우 거래량은 줄었지만 가격은 오르는 기현상이 포착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의하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신고일 기준) 5만 7242건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 8.3%가량 줄어든 것이다.


올해 1월부터 3월까지는 4월에 시행되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를 피하기 위해서 1만건이 넘게 거래가 급증했지만, 5월부터는 갑작스럽게 거래량이 뚝 끊겼다. 월별로 살펴보면 5월은 5472건, 6월 4791건, 7월 5360건 등으로 전년 대비 반토막이 났다.


이는 정부 규제로 인해서 서울 대부분 지역이 재건축 지위양도 금지, 다주택자 양도세 강화 등으로 매매수요가 위축된데 이어 거래할 수 있는 매물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당 기간 동안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총 거래량은 1만 1202건으로 전년에 1만 5700건에 비해서 28.6%나 줄어들었다. 상황은 비강남권도 마찬가지였다. 성동, 마포, 동작구 등도 거래량 감소가 나타났다.


문제는 이렇게 거래량은 줄어들지만, 집값은 꺾이지 않고 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아파트값은 4.69% 오른 서울이 1월부터 7월까지는 2.50% 상승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7월까지 집값 상승폭은 지난해를 뛰어넘어 4.73%나 올랐다.


더욱이 강남4군의 경우는 같은 기간 동안 집값이 6.51%나 올랐다. 이는 지난해 2.95%였던 것을 고려하면 두 배 넘게 오른 것이다. 마포, 동작, 성동, 광진구 역시 거래량은 줄었지만 매매값은 지난해에 비해서 약 2배씩은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마포구에 위치한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의 경우 거래량 감소가 집값 약세라는 공식을 깬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


올해 매매계약 집계가 완료된 6월까지 해당 아파트의 매매거래 현황을 살펴보면 전용면적 59㎡는 32건이 거래되는 데 그쳤지만, 매매값은 올해 초 8억 5000만원 안팎이던 것이 10억 2000만원으로 1억 7000만원이나 올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88건이 거래됐을 당시 상승폭이 1억원 남짓했던 것과 비교하자면 더 많이 오른 것이다.


서울에서 거래가 줄어들면서 집값 상승률도 둔화된 것은 노원구(2.93%→1.04%)와 금천구(2.66%→1.30%) 뿐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서울 주택시장이 고점기의 변곡점에 놓여있다고 평가했다. 이미 집값이 오른 상황에서, 올 하반기 금리인상 가능성과 내년 보유세 인상 등 정부 규제가 추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처럼 거래량 감소 속에서도 집값이 오르는 기현상은 오래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