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남북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마치고 난 뒤 북한의 경제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북한이 공식적으로 내놓은 경제 통계치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한국은행이 북한의 거시경제를 추정하고 있으며, 북한은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 대외무역이 확대되고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북 제재가 강화되면서 성장세가 꺾이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28일 한국은행과 통일연구원 등에 의하면 지난 2016년 북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36조 1033억원으로 추정됐다. 같은해 한국의 명목 GDP 규모는 1641조 7860억원으로, 이는 남북간 경제력 차이가 45배 이상 나는 것이다.


특히 GDP는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해 창출한 부가가치의 합으로서, 한 나라의 거시적인 경제 흐름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다.


한은의 추정치를 참고하면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다. GDP 규모가 300억달러 안팎인 나라는 바레인, 카메룬, 엘살바도르, 우간다, 예먼, 잠비아 등으로, 북한의 공식 통계가 전무하기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경제력 측면에서는 변방에 있다는 관측은 무리가 아니다.


다만 북한 경제는 김정은 체제 이후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상황이다. ‘고난의 행군’ 당시만해도 북한 경제는 줄곧 마이너스 성장세였다. 한은이 추정치를 발표한 1991년 -4.4%를 기록한 이후 1998년까지 8년 연속으로 역성장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 1992년과 1997년에는 -7.1%, -6.5%까지 각각 떨어지기도 했다.


미약하게라도 플러스 성장률이 굳어진 건 2010년대 이후부터다. 지난 2011년부터 0.8%→1.3%→1.1%→1.0%로 1%대 성장을 했다. 아울러 지난 2017년에는 17년 만의 최고치인 3.9%를 달성하기까지 했다. 이는 김정은 체제 이후 성장률이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눈여겨 볼 것은 해당 기간 대외무역(수출+수입) 규모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통일연구원이 인용한 코트라 자료에 의하면 2010년까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30억~40억달러 안팎에 머물렀다. 하지만 2011년에는 63억 6000만달러(52.3%)나 급증했다. 석탄 수출 호조의 영향이다. 지난 2014년에는 76억1000만달러로 정점에 이르렀다.


다만 최근 변수는 전방위적인 대북 제재다.


이와 관련해 홍제환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서 “김정은 정권이 점차 강화된 대북 제재로 경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정권 초기에는 경제에 큰 부담을 주지는 않았지만 갈수록 제재 수위가 높아져 왔고, 북한 당국은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할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지난해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전년(3.9%) 대비 하락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지난해 성장률은 1%대로 하락햇을 것으로 봤다. 아울러 올해의 경우 마이너스 3~4%까지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때문에 남북 정상회담이 시종일관 파격의 연속으로 진행된 이면에는 북한의 경제적 고민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