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26일(현지 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에 미국 해양청 발주 국가안보 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가 정박해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 달 26일(현지 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에 미국 해양청 발주 국가안보 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가 정박해 있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 한화그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를 원자력 추진 잠수함(SSN) 건조기지로 육성하는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 이후 마스가(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MASGA) 펀드 1500억달러를 활용한 미국 내 원잠 건조 구상이 현실화될 조짐이다.

한화는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달러(약 7조원)를 투자해 총 12만평 규모의 블록 생산 기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 기지는 함정과 특수선 건조를 위한 기반으로, 지반공사와 밀폐형 작업장 등 원잠 건조를 위한 기본 인프라 확보가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평가다.

마스가 펀드를 활용하면 통상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원잠 건조사업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화오션이 보유한 고도의 잠수함 건조 기술을 적용하면 미국 해군의 버지니아(7800톤급), 로스엔젤레스(6900톤급) 급 잠수함 건조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화필리조선소는 미국 내 두 핵심 원잠 건조 조선소인 제너럴다이내믹스 일렉트릭보트와 헌팅턴잉걸스 뉴포트뉴스 사이에 위치해 전략적 이점도 크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방산 인증 획득이 선결 과제다. 일반적으로 수년이 소요되나, 한미 전략 협력 심화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등을 계기로 패스트트랙 지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 내 원잠 건조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 조선업계와 부품·설계·MRO 분야 협력사에도 직접적인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과거 한화오션은 미 해군 MRO 사업을 수행하며 부산·경남 지역 16개 조선 협력사들과 협업한 바 있다.

한편, 한국 해군이 추진 중인 장보고-Ⅲ 배치-Ⅲ(5000톤급) 역시 원잠 전환 가능성이 있는 기종으로 평가되며, 향후 한국형 원잠 개발과 미 해군 수출이라는 투트랙 전략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해군의 수요는 물론, 한국 해군의 독자 수요도 맞출 수 있는 ‘미국 현지 생산, 국내 역량 활용’ 모델이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