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의 '조용한 가격 인상'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제품의 중량이 제각각인데다 정보 제공도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중량을 고지하지 않은 채 가격은 유지하거나 오히려 이중가격을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며,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소단협)는 지난 20일 BBQ치킨, 교촌치킨, bhc, 처갓집양념치킨, 굽네치킨, 네네치킨, 페리카나 등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7곳을 대상으로 메뉴 중량 및 제공 정보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중 자사 홈페이지에 중량을 명시한 업체는 교촌치킨과 bhc 두 곳에 불과했고, 주요 배달앱에 중량 정보를 제공한 곳도 이들뿐이었다.
현재 식품위생법상 영양성분과 달리 중량 표기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하지만 치킨 한 마리 가격이 2만원을 훌쩍 넘는 현실에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권이 제한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소단협은 “제품 다양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중량 등 기본 정보 제공은 소비자 권익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며 중량 표시 의무화를 촉구했다.
실제 소비 현장에서도 중량 차이가 확인됐다. 소단협이 각 브랜드 매장 1곳씩을 골라 배달과 포장 주문을 진행한 결과, 동일 메뉴임에도 최대 240g까지 중량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살 메뉴의 경우 BBQ치킨은 배달 시 1040g이었지만 포장 시 800g으로 240g 차이를 보였다. 후라이드 메뉴에서는 bhc치킨이 배달 760g, 포장 940g으로 180g 차이를 기록했다.
반면 교촌치킨은 후라이드·순살 모두 5g 이하의 차이를 보여 상대적으로 일관된 품질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