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메르세데스-벤츠 올라 칼레니우스 회장을 만나 전장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삼성의 미래 모빌리티 사업에 다시금 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삼성SDI, 하만, 삼성디스플레이, 시스템반도체 등 계열사들이 전방위 협업 채널을 구축하며 ‘삼성표 전장 생태계’가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키우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 13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한남동 승지원에서 칼레니우스 회장과 비공개 만찬을 갖고 차세대 배터리, 자율주행 기술, 차량용 반도체, 전장 디스플레이 등 분야의 전략적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양사 수장은 지난 3월 중국 발전포럼(CDF)에서 회동한 이후 약 8개월 만에 다시 마주 앉았다.
이날 회동에는 최주선 삼성SDI 사장, 크리스티안 소보트카 하만 사장 등 핵심 전장 계열사 대표들도 배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 인사 교류를 넘어 실질적 협력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실행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과 벤츠는 기존에도 배터리, 디스플레이, 전장 부품 등 여러 부문에서 협력해 왔다. 특히 최근 벤츠가 전기차 ‘EQ 시리즈’ 확대에 주력하면서, 삼성SDI의 고에너지밀도 배터리 기술과 하만의 차량용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이 차세대 프로젝트에 활용될 가능성이 주목된다.
삼성은 2016년 미국 하만 인수로 전장 시장에 본격 진출한 뒤, 지속적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이 회장은 2020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배터리 라인 투어를 함께했고, 2022년 BMW 회장과의 협력을 논의한 데 이어, 2023년에는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와 북미 반도체 연구소에서 회동한 바 있다.
이러한 글로벌 광폭 행보는 실제 사업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SDI는 현대차 유럽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대형 계약을 체결했고, 삼성전자는 테슬라 최신 자율주행칩 AI6를 수탁생산(파운드리)하는 165억달러 규모 계약을 따냈다. 삼성전기는 이 회장이 중국 BYD 본사를 방문한 뒤 대규모 차량용 MLCC 공급을 시작하며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벤츠 회장과의 회동 역시 기존 협력 관계의 심화는 물론, 새로운 공급망 구축 가능성까지 엿보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자율주행 시스템온칩(SoC), 차량용 OLED, 세라믹 커패시터 등 삼성의 전장 전후방 기술이 벤츠의 ‘럭셔리 EV’ 전략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배터리를 넘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그룹 전역의 역량을 융합해 전장 사업을 키워왔다”며 “벤츠와의 협력이 본격화되면, 삼성의 미래차 전장 포트폴리오가 글로벌 수준에서 한층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