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실적이 전년 대비 1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상승과 건설안전 규제 강화 등 공급 여건이 악화된 가운데에서도 신축 선호 수요가 유지되면서, 내년에는 올해보다 실적이 다소 개선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공동주택 분양실적’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은 13만30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1957가구 대비 19.5% 감소한 수치다.
특히 지방의 감소 폭이 컸다. 지방 분양실적은 올해 5만4575가구로 전년(7만8556가구) 대비 30.5% 줄었다. 지역별로는 광주(-86.3%)와 전남(-86.2%)을 비롯해 제주(-81.0%), 대전(-69.3%), 울산(-57.0%) 등에서 50% 이상 급감했다.
반면 경남은 지난해 2894가구에서 올해 5216가구로 80.2% 증가하며 뚜렷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부산(25.9%), 충북(26.6%), 충남(16.9%) 등도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역시 전체적으로는 감소세다.
지난해 8만3401가구였던 분양 물량이 올해 7만5734가구로 9.2% 줄었다. 특히 서울은 1만7807가구에서 9197가구로 48.4% 급감했고 인천도 18.1% 감소했다.
반면 경기 지역은 고양창릉·부천대장·하남교산 등 공공택지 본청약이 집중되며 7.1% 증가를 기록했다.
주택시장은 자재비·인건비 상승과 건설안전 규제 강화 등으로 공급 여건이 악화된 상황이다. 특히 초강력 대출 규제로 수요 위축이 우려되면서 일부 사업지는 분양 일정을 미루거나 재검토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내년에는 분양시장에 다소 회복세가 나타날 가능성을 제기한다. 입주물량 감소로 신축에 대한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표한 ‘2026 부동산전망’에 따르면 올해 연간 분양실적은 21만 가구 수준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이보다 증가한 25만 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공사비 인상과 안전 규제 등으로 공급 제약 요인이 여전하지만, 신축 수요가 유지되는 만큼 사업성이 불투명해 멈춰섰던 사업장이 재개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