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부동산 준개업소. [사진=뉴시스]
서울시내 부동산 준개업소.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규제가 매매·임대차 시장을 얼어붙게 만들면서 개업 공인중개사 수가 5년 2개월 만에 11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현장의 거래절벽이 장기화되자 신규 진입은 줄고 폐업·휴업이 쏟아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는 10만9,979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8월(10만9,931명) 이후 처음으로 11만 명 선이 무너진 것으로, 공인중개사 자격 보유자(55만1,879명) 중 사무실을 실제 운영하는 비율은 5명 중 1명에 그치고 있다.

신규 개업 중개사도 빠르게 감소 중이다. 10월 신규 개업자는 609명으로 전월 대비 57명 줄며 협회 통계 집계 이후 첫 600명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폐업자는 872명, 휴업자는 91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개업(7,634명)보다 폐업·휴업(1만176명)이 더 많은 ‘순유출’ 현상은 작년 2월부터 무려 2년 9개월째 이어지는 중이다.

업계는 정부의 6·27 대책과 10·15 대책 등으로 DSR 규제 강화, 규제지역 확대,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가 겹치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감한 영향을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한다.

지방 역시 미분양 해소가 지연되고 거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중개업 경영난이 전국으로 번지고 있다.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은 전국 17만7,407가구로 올해 대비 26% 줄어 시장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 인원도 감소세다. 지난해 제35회 시험 응시자는 14만8,004명으로 8년 만에 2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업계는 “거래 부진이 장기화되면 중개업계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