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은행 창구. [사진=뉴시스]
 서울시내 은행 창구.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 초강도 대출 규제가 연말 금융권 전반에 본격 적용되면서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창구를 잇달아 닫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도 주담대 금리는 오히려 상승하며 차주들의 주거비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효과가 겹치며 서울 외곽과 수도권 6억원 이하 중저가 밀집 지역에서 수요 위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한다.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주담대 신규 접수를 중단하거나 중단 검토에 들어갔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이미 영업점 접수를 멈춘 가운데, 다른 은행들도 추가 조치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6·27대책과 10·15대책으로 주택 가격대별 대출 한도가 크게 줄어든 데 이어 신규 대출까지 막히면서 주택시장에는 거래 공백이 나타나고 있다.

규제지역의 경우 15억 초과~25억원 미만 주택은 4억원, 25억원 초과 주택은 2억원까지만 대출이 허용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10월 8326건에서 대출 규제 영향이 두드러진 11월(24일 기준) 871건으로 급감했다. 11월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음에도 거래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주담대 금리까지 상향되며 대출 보유자들의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3.63~6.43%(19일 기준)로 상단이 6%를 넘어섰다.

기준 금리 인하 기대와 달리 코픽스(COFIX)가 두 달 연속 상승하고 금융채 금리가 뛰면서 역주행 흐름이 형성된 것이다.

특히 2020~2021년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았던 차주들은 금리 재산정 시점이 도래하면서 이자 부담이 두 배 이상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과거 금리 인상기에도 현금 비중이 높은 고가 지역보다 서민 거주 지역에서 이자 부담 충격이 먼저 나타났다”며 “서울 외곽과 수도권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연말까지 수요 위축이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