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이 본격화되면서 올해 1~9월 누적 기준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당시 기록을 제외하면 역대 두 번째로 큰 수치다.

기획재정부가 13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올해 1~9월 총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1조4000억원 늘어난 480조7000억원, 총지출은 51조9000억원 증가한 544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통합재정수지는 63조5000억원의 적자를 나타냈으며,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제외한 실질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2조4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1조5000억원)보다 10조9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코로나19 위기 당시인 2020년(108조4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적자 규모다. 기재부는 "9월은 주요 세입 일정이 없어 적자 폭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며, 10월에는 개선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수입 측면에서는 국세수입이 289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조3000억원 증가했다. 법인세(21조4000억원)와 소득세(10조2000억원)는 크게 늘었으나 부가가치세는 2000억원 감소했다. 세외수입과 기금 수입도 각각 2조2000억원, 4조9000억원 증가했다.

한편 중앙정부의 국가채무는 9월 말 기준 1259조원으로 전월보다 소폭(1조9000억원) 감소했으나, 연초 대비 116조8000억원 증가한 상태다. 10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7조7000억원으로 누적 발행량은 205조2000억원에 달했으며, 이는 연간 발행한도(231조1000억원)의 88.8%에 해당한다.

그러나 국고채 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며 정부의 자금 조달 부담도 커지고 있다. 10월 말 기준 3년물 국고채 금리는 전월 대비 0.134%포인트 오른 2.716%, 10년물 금리는 3.061%로 0.11%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조달금리 역시 2.68%로 전월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외국인의 국고채 보유 잔액은 280조6000억원으로 전달보다 1조1000억원 늘었으나, 전체 보유 비중은 0.1%포인트 낮아진 24.1%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