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지난 주말 전북 김제, 부안 들판을 카메라에 담았다.

이곳은 곡창지대로, 일제강점기 수탈이 심하던 지역이다. 당시 전주와 군산(군산항)을 잇는 대규모 도로가 들어섰고, 김제평야의 경우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조정래 선생의 대하소설 아리랑의 배경도 이곳이다. 삼한시대 수리시설인 김제 벽골제 인근에 아리랑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전북 김제, 부안의 황금 들판. [사진=정수남 기자]
전북 김제, 부안의 황금 들판. [사진=정수남 기자]
올해 임무를 마친 만경강이 물을 뺐다. [사진=정수남 기자] 
올해 임무를 마친 만경강이 물을 뺐다. [사진=정수남 기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곡창지대 김제가 매년 가을 지평선 축제를 연다. [사진=정수남 기자]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곡창지대 김제가 매년 가을 지평선 축제를 연다. [사진=정수남 기자]

다만, 이원택 의원(군산시·김제시·부안군을,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쌀값이 80㎏당 20만원을 넘었지만, 올해 8월 17만원대로 떨어졌다.

앞쪽이 콩.
앞쪽이 콩.
이를 고려해 일부 농가가 벼 대체 작물로 콩을(중간) 심고 있다. [사진=정수남 기자]
이를 고려해 일부 농가가 벼 대체 작물로 콩을(중간) 심고 있다. [사진=정수남 기자]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