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서울지하철을 비롯한 수도권 전철의 하루 이용객은 500만명에 육박한다. 다만, 서울을 비롯해 지하철을 운영하는 5대 광역시의 연간 운영 손실액은 5400억원이다.
정부가 노인 복지 목적으로 65세 노인에게 무임승차를 허용해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이를 고려해 서울지하철공사 등은 정부에 손실금 보전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서울지하철공사의 서비스는 엉망이다.
걸핏하면 연착에, 정차 위치 오류에, 스크린도어와 객차 출입문 개폐 반복에, 에스컬레이터와 승강기의 잦은 고장 등.
이로 인한 시간 손실은 적게는 수초에서 많게는 수십 분이지만, 이를 해당 열차에 탄 승객 수를 고려하면 상당한 시간이다.
‘시간이 금이다’라는 경구를 고려하면, 서울교통공사가 시가 도둑인 셈이다.
최근 카메라에 담았다.
해법은 비용 절감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툥공사가 차표 판매대를 없애고 무인판매대로 교체했듯이, 지율주행 열차로 교체해야 한다는 게 일각의 목소리다. 통상 기업의 고정비용 가운데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서다.
프랑스 일부 도시의 경우 2000년대 초부터 자율주행 열차로 지하철을 운행하지만, 안전사고 등은 0이다.
한편, 2021년 상반기 현재 서울시의 재정자립도는 77%다. 지하철 운영에 따른 손실액을 시가 충분히 보전할 수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관련기사
- [포토] 일상다반사…여기저기 ‘기웃기웃’
- [영상/포토] 재개발 지역에도 봄은 오는가…올걸?
- [영상/포토] 자라보고 놀란(?) 서울교통公, 선제 대응
- [포토] 서민 살림, 힘들지만…‘살아봅시다’
- [포토] 일상다반사?…봄날은 가고, 추억은 살아나고
- [영상/포토] 언제 다 ‘먹지?’…꽃 구경하며 ‘쉬엄쉬엄’
- [영상/포토] 봄은 ‘깊어가고’…개나리·진달래 진 자리에 또 ‘꽃’
- [영상/포토] 새벽부터 나서지만…서민 살림은 ‘뒷걸음’
- [영상/포토] 나를 위한 줄…너를 위한 봇물(?)
- [영상/포토] 정의선 회장, GBC 바꾸나?
- [영상/포토] 韓 안전불감증, 역사에 남는다
- 公이나 民이나 도긴개긴…서울지하철 시간도둑, 서비스 엉망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