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 4대강 녹조현상이 그야말로 심각하다. 독성물질이 검출되면서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고 환경단체들이 입을 모은다. 원인은 물론 폭염 때문이다.


폭염으로 인한 수온상승으로 녹조 현상이 심각하다. 수돗물 취수에도 그래서 비상이 걸렸다.


온 국민적 불안을 안겨주는 녹조는 수온 25도~30도에서 잘 자라며 일조량이 많을수록 쉽게 번식한다. 또 PH가 높을수록 잘 자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4년만에 다시 발생한 녹조는 똑같이 해조류가 증식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전문가들은 녹조현상에 대해 일조량이 많고 강수량이 적고 수온과 기온이 높으면 주로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자연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에 맞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상황이 결부돼 나타난다고 설명 중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7일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폭염과 북한강 녹조에 대해 국민의 걱정이 많다”며 “장기간 비가 오지 않고 폭염이 지속돼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국민 건강과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잘 관리하고 정확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맞는 말이다.


전문가들 역시 유례없는 무더위에 강수량이 예년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아 남조류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번 녹조현상은 지난 6월말 낙동강 하류에서 발생한 이후 7월초에는 낙동강 상류까지 퍼졌으며, 수도권인 북한강 상류 의암과 청평댐 일대에서도 남조류 일종인 아나베나가 이상 증식하기 시작했다.


아나베나가 번식하면서 분비되는 대사물질인 지오스민이 급증하면서 물에서 흙냄새가 난다는 민원도 7월초부터 이어졌다.


결국 낙동강에서 시작된 녹조가 북한강과 팔당 취수장 한강 하류로까지 퍼지며 먹는물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독성물질을 가진 남조류가 낙동강에 증식하면서 치명적인 건강상 문제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 때문에 분기별로 하던 독성검사를 주1회 실시해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보다 철저하게 대비해 시민들을 안심시켜야 한다.


문제는 4대강 녹조현상이 “4대강 사업 때문”이라는 비판의 도구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일부 환경·시민단체 등은 4대강 사업 때문에 유속이 느려져 녹조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낙동강이 녹조로 뒤덮여 위험한 강으로 변한 것은 강물을 막아버렸기 때문”이라며 “수질을 정화하는데 큰 역할을 했던 강 둔치의 식물과 수생식물 등도 4대강 사업으로 모두 사라져버렸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곧바로 비난여론을 의식해 “녹조와 4대강 사업은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4대강 사업과 녹조현상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녹조가 4대강 사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함부로 단정을 짓는 것은 문제가 있다.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대량으로 증식하는 것이 녹조다. 대통령이 녹조현상은 폭염 때문이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적도 인근의 아마존강, 나일강, 갠지스강은 어떤 모습일까.


홍성태 상지대 교수는 트위터에서 “대통령이 더위 때문에 녹조 불가피하다고 하는데 그럼 1994년 더위에도 이런 녹조곤죽이 만들어졌냐. 강 죽이기 사업 강행할 때부터 전문가들이 이런 현상을 미리 예측했다”고 꼬집었다.

녹조현상은 국민의 건강과 직결됐다. 당장 수돗물에 비상이 걸렸는데 과학적 근거조차 없이 함부로 ‘녹조현상’에 대해 편리하게 해석하는 오류를 범해선 안된다.


4대강이 만들어지면서, 또 열대 현상이 내년에도 또다시 한반도에서 되풀이된다는 점에서 녹조현상은 또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100%다.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 정치적 싸움이 시급한 상황은 절대 아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