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재산을 다 팔아도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깡통전세’ 위험 임대가구(집주인)가 전국적으로 1만 2천여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 전세시장 상황 및 관련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211만 임대가구 가운데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 비중은 지난해 3월 기준으로 0.6%였다. 즉, 211만 가구 가운데 1만 2600가구가 깡통전세라는 것이다.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초과한다는 것은 부채가 전체 자산보다 많아 재산을 다 처분해도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반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임대가구를 포함한 전체 가구를 놓고 볼 때 총 자산 대비 총 부채 비율이 1005를 초과한 가구의 비중은 2.8%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임대가구의 재무안정성이 전체 가구에 비해서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내 임대가구의 소득구성을 살펴보면 소득수준 상위 60~100%인 고속득가구(4~5분위)의 비중이 지난해 3월 기준 64.1%에 달했다.


또한 이들 가구의 경우 실물자산을 평균 8억원 가량 보유하면서, 총자산(금융+실물자산) 대비 총부채(보증금 포함) 비율이 26.5%로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은 측은 “전세가격 하락은 일차적으로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나 임대가구의 재무건전성이 대체로 양호한 점에 비추어 관련 리스크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금융자산만을 고려해 보면 임대가구의 보증금 반환 능력은 전반적으로 약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2년 3월~2018년 3월까지 임대가구의 보증금이 연평균 5.2% 상승했지만, 금융자산은 3.2% 증가에 그쳤다. 이는 차임 및 갭투자를 통한 부동산 구입 등으로 임대가구의 금융부채(연평균 7.4%) 및 실물자산(6.1%)이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임대가구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1억 1000만원으로 전체가구의 금융 부채 5000만원을 크게 상회했다. 금융자산 대비 보증금 비율도 2012년 3월 71.3%에서 지난해 3월 78.0%까지 상승했다. 특히 금융부채를 보유한 임대가구의 경우 지난해 3월 기준 보증금이 금융자산의 91.6% 수준까지 올랐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