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수영 기자]북한이 ‘2·28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로는 가장 강도 높은 미국에 대한 비난 성명을 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입으로 볼 수 있는 외무성 최선희 부상은 15일 “어떤 형태로든 미국과 타협할 의도도, 이런 식의 협상을 할 생각이나 계획도 결코 없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에 대해서는 “중재자가 아니라 플레이어”라고 선을 그었다. 북한 특유의 ‘벼랑 끝 전술’로 회귀하는 것이냐는 평가가 나온다.

최 부상은 “폼페이오와 볼턴이 비타협적인 요구를 하는 바람에 미국의 태도가 강경해졌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간 두 번째 회담이 결렬된 이유로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백악관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목했다. 그는 이어 “이들이 적대감과 불신의 분위기를 만들었고, 두 정상의 노력을 방해했다”고 비난했다.



대북 강겨파인 볼턴 보좌관을 겨냥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참모들이 내놓은 발언이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고 비난했다. 볼턴 보좌관은 작년 6월 싱가포르 1차 미·북 정상회담 당시엔 별다른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전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정상회담 땐 예고 없이 전격 등장해 북한을 몰아붙였다. 북한은 당시 그의 맞은 편엔 배석자를 앉히지 않으면서까지 불쾌감을 노출했다.


최 부상은 이날 “미국이 황금 같은 기회를 날려버렸다”면서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직후인 지난 1일 밤 심야 기자회견 당시보다 강경한 발언을 내놨다. 또 “미사일 시험 발사와 핵실험 중단을 계속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김 위원장의 결정에 달렸다”는 경고도 보냈다. 그는 이어 “북한의 향후 행동계획을 담은 공식성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부상은 “(하노이에서) 고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우리 국무위원장은 ‘대체 무슨 이유로 우리가 다시 이런 기차 여행을 해야 하겠느냐’고 말했다”는 것을 전하며 “미국의 강도 같은 태도는 결국 상황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 부상은 “북한 군부, 군수업계 등에서 핵을 절대 포기하면 안 된다는 무수한 청원을 김 위원장 앞으로 보냈음에도 김 위원장은 미국과의 신뢰를 쌓고 상호 합의된 약속들을 이행하기 위해 하노이로 갔던 것”이라며 군부의 핵 고수론을 언급, 핵 도발 가능성을 내비쳤다. 다만 AP통신은 북한이 미사일이나 위성 발사를 준비 중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의 사실 여부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최 부상이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대화를 도우려 하고 있지만 한국은 미국의 동맹이기 때문에 중재자(arbiter)가 아니라 플레이어(player)’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우리 정부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드러낸 것이다.


북한은 남북 간 주요 연락채널 중 하나인 개성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소장회의가 3주째 열리지 않은 것도 우리 정부를 향한 북한의 입장으로 대변된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남측 소장(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평소대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로 정상 출근해서 근무하고 있다”며 “북측 소장(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하지 못하게 됐다고 미리 통보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어떤 사정인지는 모르겠지만 지난 11일부터 김광성 소장대리가 자리에 없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