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올해 2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2월 보다 26만3000명 증가하면서 13개월 만에 취업자가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달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체감 실업률·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일자리 사업 확대와 농림어업 종사자 증가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노인 취업자가 통계 작성 후 가장 크게 늘은 반면,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이나 금융 및 보험업 일자리는 큰 폭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취업자 수가 크게 늘었음에도 여전히 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때문에 고용시장이 회복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공개한 ‘2019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4만9000명으로, 작년 2월 대비 26만3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평균 취업자 수가 9만7000명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년 대비 상당히 개선된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 수 증가폭이 20만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1월 33만4000명 이후 13개월만이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해 2월 10만4000명 증가하는 데 그친 이후 올해 1월 1만9000명까지 12개월 연속 부진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취업자 증가폭이 3000명에 불과했다.


2월 취업자 증가폭이 1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 분야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2.9% 증가한 23만7000명으로 조사됐다.


이외 1년 전보다 각각 11만 7000명(11.8%), 7만2000명(9.0%) 증가한 농립어업과 정보통신업도 취업자 확대에 기여했다.


반면 제조업(-15만1천명), 도매 및 소매업(-6만명), 금융보험업(-3만8천명)의 취업자는 크게 줄었다. 특히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4월부터 11개월 연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형태별로는 상용직에서 취업자가 29만6000명 증가한 반면, 임시근로자는 4만3000명 줄었다. 일용직은 4만명 증가했다. 자영업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5만명 감소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000명 증가했다.


통계청 정동욱 고용통계과장은 “노인일자리 사업에 지원한 분들이 보건·복지·공공행정 등 분야에 취업자로 유입했고 농림어업에서 취업자가 10만명대 증가를 기록한 것도 취업자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60세 이상 취업자 늘고, 30·40대 취업자는 감소


이번 취업자 수 증가폭 확대에는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늘은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30·40대 취업자는 감소했고, 15~29세 취업자 증가폭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60세 이상과 50대 취업자는 각각 39만7000명, 8만8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11만5000명과 12만8000명씩 감소했다. 15~29세 취업자 증가폭은 2만1000명에 불과했다.


실업자 수도 130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8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느 2월 기준 사상최대치를 기록한 지난 2017년 134만4000명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실업률은 1년전보다 0.1%p 오른 4.7%로 집계돼 2017년 1월(4.9%) 이후 가장 높았다. 15~29세 청년실업률은 9.5%로 전년대비 0.3%p 하락했지만, 잠재적 실업자가 포함된 청년층 고용보조지표 3은 24.4%로 사상최고치를 나타냈다.


정동욱 과장은 “취업자수 증가는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보건·복지·공공행정)이 영향을 끼쳤다”며 “농림어업과 정보통신업 증가세에도 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고용시장이 회복됐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