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봉주 인턴기자]대체투자 전문인력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대체투자가 자산운용전략의 핵심으로 자리잡으면서 대체투자 인력의 수요는 높아지지만 전문인력은 상대적으로 인력풀이 좁기 때문이다. 대체투자는 주식보다 변동성이 적어 자산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부동산·실물자산 등의 대체자산이 리스크 헤지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대체자산과 증권·채권과 같은 전통자산의 다양한 조합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장점도 있다.


주요 증권사나 자산운용사들은 대체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전문인력은 상대적으로 적다. 대체투자 인력을 찾는 곳은 많고 인력풀은 제한적이어서 영입경쟁이 치열해졌다. 내부 인력 유출을 방지하는 것도, 외부 인재를 영입하는 것도 쉽지 않은 분위기다. 대체투자를 신규 세팅하는 운용사는 대체투자 경력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적극 영입하려는 추세다.


어떻게 하면 몸값이 오르고 잇는 대체투자 전문가가 될 수 있을까. 현재까지 대체투자 전문가를 육성하고 키우는 시스템이 갖춰진 운용사는 매우 드물다. 경력을 갖춘 대체투자 인력이 없기 때문에 마지못해 증권사나 운용사, 사모펀드(PE) 등에서 투자은행이나 프랍 트레이딩 업무를 하던 인력를 영입하고 있다.


대체투자 관계자는 “여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 보다는 인턴 경험 등 관련 경험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체투자는 증권·채권 등은 사무실에서 혼자 컴퓨터와 숫자를 보는 일이지만, 대체투자는 실질적으로 자산을 운용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오피스·빌딩·아파트 등 실생활과 맞닿아 있는 것들이다. 이런 자산들은 결국 매도자와 매수자의 협상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사람과 만나 시간을 보내는 일이 잦다. 따라서 “언변에 능하고, 사람 만나는 것에 익숙한지 등도 감안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회사들은 외국어 능력을 특히 중점적으로 봤다. 특히 토익 점수보다는 영어 회화, 논리력 등을 키워야 한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한 대체자산펀드 관계자는 “국내 대체투자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이다. 해외 쪽을 강화하는 추세”라면서 “영어로 협상해 딜을 성사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