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폭이 금융위기 이후 최악으로 치닫은 데에는 ‘나홀로’ 장사하는 자영업자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앞서 통계청은 지난해 2682만2000명이었던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9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증가 폭은 금융위기 여파로 8만7천명이 감소했던 2009년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1인 자영업자) 수는 1년 사이 407만4000명에서 398만7000명으로, 8만7000명이 줄었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표한 ‘경제동향&이슈 2월호’에 실린 ‘최근 자영업자의 업종별 취업자수 변동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고용 부진에 대한 1인 자영업자의 기여율이 62.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이 전년보다 100명 줄었다면 그 중 62.4명은 1인 자영업자가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현상은 실물경기 둔화, 최저임금 상승, 근로시간 단축 등의 변수가 자영업자의 폐업으로 이어져 지난해 고용 부진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2017년과 2018년 취업자 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업형태별, 업종별 기여율을 분석했다.


기여율은 작년과 2017년의 개별 산업 및 종사자 지위별 취업자 수 증감 차이를 전체 취업자수 증감 차이로 나눈 값으로 구했다.


그 결과, 지난해 고용 부진에 대한 자영업자의 기여율은 50.2%(-10만70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 중에서도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경우 취업자가 2만6000명 증가해 기여율이 -12.2%인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기여율은 62.4%(-13만3000명)이었다. 이는 종사상 지위별 구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1인 자영업자의 감소는 특히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 내 자영업자 기여율은 15.0%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1인 자영업자 증가 폭이 전년 대비 8만6000명 감소해 기여율 40.4%를 기록했다.


2017년 기준 건설업 내 취업자 대비 자영업자 비중이 20.8%(41만4000명)로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여율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황종률 겅제분석관은 “건설경기 위축과 실물경기 둔화에 따른 건설투자 위축, 민간소비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영업여건이 악화한 건설업,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에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고용 부진이 심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활성화 정책과 함께 지역별·산업별 특성과 고용원 유무 등을 고려한 대책으로 자영업자의 고용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