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세대의 소득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외환위기 이후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초임 임금이 낮고, 전체 생애에서 얻을 수 있는 소득도 적다는 것이다.


19일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발간한 ‘연령-소득 프로파일 추정을 통한 세대 간 소득 격차 분석’을 살펴보면, 생애 전체 기간의 평균 실질 임금은 1958∼1962년생부터 1968∼1972년생까지 꾸준히 상승했지만, 외환위기 후 노동시장에 뛰어든 1978년생 이후부터는 직전 세대의 소득과 같거나 소폭 하락했다.


다만, 1973~1977년생은 모형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29세에 노동시장에 진입한 남자 근로자를 가정할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초임 상승 폭이 30%에서 40%대에 이를 정도였지만, 이후에는 성장세가 둔화됐다.


1958~1962년에 태어나 1987년에 노동시장에 진입하면 초임이 110만1000원이었다. 이후 1992년(1963년~1967년생)에 취업한 경우 초임은 157만3000원으로, 전 세대보다 42.9% 상승했다.


1968년~1972년에 태어나 1997년에 노동시장에 진입하면 초임이 241만5000원이었다. 이는 노동시장 진입 시기가 1992년인 경우보다 36.4% 오른 수치다.


하지만 2002년에 노동시장에 최초 진입한 남성 근로자(1973∼1977년생)부터는 초임 상승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했다. 이 세대의 초임은 205만3000원으로 전 세대보다 4.3% 하락했다.


2007년(1978∼1982년생)의 초임은 218만1000원, 2012년(1983∼1987년)은 221만원에 그쳤다.


연령에 따른 소득 증가세도 1972년생까지는 이전 세대보다 가팔랐지만 1973년생 이후부터는 전 세대 수준에서 정체하거나 소폭 둔화했다.


이는 초임 임금이 낮고 소득 증가율도 저조한 탓에 절은 세대가 전체 생애 동안 받을 수 있는 소득이 고령 세대보다 더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세대별 소득 불균형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외환위기 후 악화된 청년층 고용 상황을 꼽았다.


1990년대 대학진학률이 상승하면서 고학력 실업자가 크게 늘었고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안정성, 복지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됐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기업들도 신규 구직자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하면서 청년층이 일자리를 잡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국회예산정책처 심혜정 소득법인세과장은 “일자리를 구하려고 눈높이를 낮추는 청년이 많아졌다”며 “이로 인해 외환위기 후 노동시장에 진입한 세대의 임금이 낮아지고 이런 진입 임금이 전체 소득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층 고용 시장을 둘러싼 구조적 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 세대 간 격차가 지속해서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