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지방에서는 미입주대란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업계가 꼽는 양호한 입주율은 90% 내외 수준이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 평균 입주율이 60%대로 뚝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입주 기간이 만료된 전국 아파트 단지의 입주율은 72.1%로 연구원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17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달 대형 단지 입주가 적었던 서울의 경우 입주율이 86.7% 였지만, 인천과 경기를 비롯한 강원도, 대전, 충청, 광주광역시?전라, 대구?부산?경상권의 입주율은 모두 하락했다.


특히 큰 폭으로 떨어진 지역을 보면 강원(72%→61%), 광주 (77%→69.5%) 등이었다. 이들 지역은 입주율 하락과 함께 미입주 현상이 확산됐다.


입주율이 이렇게 급락한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규제로 인해서 주택 거래시장이 단기간에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지난달 연구원이 조사한 수분양자의 미입주 사유를 살펴보면 기존주택매각지연이 37%으로 가장 컸다. 이어서 ▲세입자미확보(24.7%) ▲잔금대출미확보(23.3%) ▲분양권 매도지연(6.8%) 등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 사업자들은 입주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홍보 마케팅 강화(35.7%)와 대출 지원(23.6%)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밖에도 이사비 등 현금지원(9.3%), 현물지원(8.6%)도 시행 중이다.


하지만 정부가 여전히 서울 및 수도권, 일부 지방의 집값이 여전히 높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미입주대란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거래 활성화 대책이 발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에 전문가들은 일시적인 자금 경색을 완화시키는 대출 규제 개선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봤다. 거래절벽이 심화된 상황에서 대출까지 막히며 잔금을 미납하거나 계약을 아예 포기하는 사례도 급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 역시 자금난에 빠지게 될 수 있다. 입주율이 잔금회수와 직결되기 때문에 분양을 끝냈다 하더라도 입주를 마쳐야 건설자금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