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봉주 인턴기자]한국은행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 기조를 급격하게 전환할 가능성이 작다고 발표했다. 한국은행은 14일 국회에 “시장에서는 연준이 통화정책 기조를 급격하게 전환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제출했다.


미국은 작년 금리 인상 기조에서 올해 들어 인상 속도를 늦춘다는 전망을 했다. 주요 투자은행(IB)도 올해 들어 연준의 금리 인상 전망을 크게 떨어뜨렸다. 다만 투자은행 중 9개 기관은 2회, 7개 기관은 1회 등의 연준 금리 인상을 내다봤다. 미국 경제 성장 전망이 사그라들었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을 웃돌고 고용지표도 호조를 보이는 등 내년까지 미국 실물경제 여건이 나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미 연준은 통상적으로 이상적인 금리 수준인 중립금리를 소폭 넘기는 수준에서 정책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해 왔다. 현재 미 금리는 연 2.25∼2.50%로 중립금리를 넘는 수준은 아니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미국 금리 인상 경로에는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기 성장세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된다는 관측이 나와서다. 지난해 12월 미 연준은 금년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2.5%에서 2.3%로 떨어뜨렸다. 미·중 무역갈등이 지속하고 감세와 재정정책 효과 축소 등 미래 경기에 대한 불안함이 존재해서다. 주요 기관들은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을 작년 대비 0.2~0.7%포인트 낮췄다. 미 연준이 지난달 “향후 통화정책 결정 과정에서 인내심을 갖겠다”고 밝힌 것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연준은 심지어 그동안 빠짐없이 등장한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정책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있다’라는 문구를 삭제하기도 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정책금리 인상 속도가 늦어지면 자본 유출 우려를 감소시키고 실물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등 긍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면서도 미국 경기 둔화의 현실화를 우려했다. 미국 금리 속도가 늦춰지는 실물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의 통화정책 입장 변화가 생긴다면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할 수 있다는 것도 변수다. 마지막으로 한은은 미국과 세계 금융·경제 여건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미 연준의 정책 변화 등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계속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