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과 무관한 사진임.


[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제조업 출하 대비 재고 비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제품을 만들어도 판매되지 않고 남아도는 물건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기업들이 재고 부담 때문에 생산 떨어뜨리면 자칫 더 심각한 경기 부진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제조업 재고율은 116.0%이다. 이는 외환위기였던 1998년 9월(122.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제조업 재고율은 월말 남은 재고를 월중 출하량으로 나눈 값이다. 2015년 재고율을 100으로 놓고 100보다 높으면 재고가 기준보다 많다는 뜻이다.


제조업 재고율은 지난해 10월 106.9%를 시작으로 11월에 111.7% 올랐고, 12월에는 4.3% 오르며 상승 곡선을 그렸다.


일각에서는 재고율 상승이 반드시 경기 부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반도체 업종 등은 대량 출하시기에 맞춰 재고를 축적하는 일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제조업 재고율 상승은 경기 부진으로 내수와 수출이 동시에 얼어붙는 등 전반적으로 제품 판매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례로 지난달 반도체 제조업 출하가 전달에 비해 5.1%로 줄었고, 재고는 3.8% 늘었다. 출


출하가 감소하고 재고가 늘면 재고율도 덩달아 상승하게 된다.


다른 업종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자동차 제조업 출하는 전달 보다 7.1% 감소해 재고가 6.5% 늘었다.


철강 등 1차 금속의 출하는 2.5% 줄었고, 재고는 3.2% 늘었다.


출하가 주는 이유는 재고 증가로 기업들이 공장 가동률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악순환이 경기를 더 위축시킬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제조업 평균 가동률 또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아주경제가 인용한 통계청 한 관계자는 “제조업 재고율은 5년마다 기준이 변경돼 그때마다 품목이 바뀌기 때문에 엄격히 말해 전체 시계열로 비교하지 않는다”면서도 “시계열로 재고율을 연결해 살펴보는 것은 제조업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