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지난해 경기 전반에서 수요가 부진하면서 12월 제조업 재고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재고율은 제조업 출하 대비 재고비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재고율이 상승하는 현상은 경기가 꺾일 때 일어난다.


다만, 반도체와 같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생산해 대량 출하 시기에 대비해야 하는 업종이 있어, 경기가 좋을 때도 재고율이 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재고율이 커졌다는 것은 제품을 생산했지만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해 팔리지 않은 물건이 쌓인다는 뜻이므로, 재고 부담으로 제조업 생산이 둔화해 경기가 더 깊은 부진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11일 국제금융센터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제조업 재고율을 116.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998년 9월 122.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같은 제조업 재고율 상승은 지난해 말부터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106.9% 수준이었던 재고율은 11월 111.7%로 오르더니 12월에는 4.3%p 더 올랐다.


재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제조업체도 공장 가동을 줄이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재고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찍은 반면, 제조업 평균 가동율을 2개월 연속 떨어지며 72.7%로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출 주력 품목으로 꼽히는 반도체의 경우 출하는 5.1% 줄고, 재고는 3.8% 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도 한 달 전 보다 출하가 7.1% 감소하고, 재고는 6.5% 증가했다.


이에 따라 결국 생산이 둔화해 경기가 더 위축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재고 부담 확대, 수출 둔화 등으로 당분간 생산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며 “생산이 위축된 상태에서 재고까지 쌓이면서 기업들이 생산 축소에 이어 생산시설 감축에 나설 경우 우리경제의 후퇴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