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김다정 기자]지난해 자영업 경기 악화와 구조조정의 여파로 한국 경제의 ‘허리’라고 불리는 30·40대가 전방위에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악화와 최저임금 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자영업과 연관이 깊은 도소매업을 비롯, 교육서비스·제조업 등 전방위 산업에서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이다.


27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0~40대 취업자는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에서 모두 전년 대비 17만7000명이 감소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30~40대 남성 취업자가 제조업 등에서 전방위로 줄어든다는 것은 불안한 신호”라며 “30~40대는 생산성이 가장 뛰어난 근로계층이어서 아무리 경제가 어려워도 줄이지 않는데, 주력계층이 일자리를 잃었다는 것은 경제가 정말 어렵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자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자영업자가 많은 도소매업이었다. 도소매업에서 30대 취업자는 5만1200명, 40대 취업자는 6만8300명 등 모두 11만9500명이나 감소했다.


특히 고용원 없는 도소매업 자영업자는 78만2000명으로 전년의 83만8000명에 비해 5만6000명(6.6%) 줄었다.


학령인구 급감에 따른 학원 폐업 등으로 교육서비스업도 타격을 받았다. 이 분야 취업자는 30대가 3만3800명, 40대는 2만67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선업과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도 크게 감소했다. 30대가 2만500명, 40대는 2만4000명, 총 4만4500명이 줄었다.


이외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과 운수 및 창고업에서 30∼40대 취업자 수가 각각 2만8700명, 2만7600명 감소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도 30대가 1만8000명, 40대가 8100명 등 모두 2만6100명이 줄었다.


이와 반대로 정부의 일자리 예산 지원이 집중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30~40대 취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분야 취업자는 30대가 3만1100명, 40대는 2만2000명, 총 5만3100명 늘었다.


공공일자리인 공공행정과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분야 30대 취업자도 2만7300명 늘었지만, 40대에서는 2만600명 감소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