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전국 평균 9.13% 올랐다. 서울은 17.75%로 주택가격공시제도가 도입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두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스페셜경제=김영일 기자]정부가 올해 전국 표준 단독주택 22만 가구의 공시가격을 공시했는데, 지난해보다 전국 평균 9.13%가 상승한 것과 관련해, 바른미래당은 25일 “문재인 정부 사전에는 점진적·단계적이란 말은 없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2005년 공시가 시작된 이후 14년 만에 역대 최대 상승률”이라며 이와 같이 비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4월에는 아파트 등 공공주택의 공시가격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시가격은 재산세 등 각종 조세와 복지수급 및 부담금 부과 등 60여 가지의 행정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는데, 국토교통부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급격히 오른 주택 가격을 잡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어 “그러나 정부의 잘못된 부동산 정책 때문에 집값이 오른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주택공시 가격이 올라가면 집주인의 세금이 올라가고, 그 부담이 전월세에 이전되어 세입자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영세자영업자와 서민 그리고 청년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과 마찬가지로 오른 집값을 현실화하겠다는 명분으로 과도한 주택공시가격 인상은 결국 서민 부담만 더욱 크게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공급을 늘리고,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을 내놓아서 주택가격을 잡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