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이인애 인턴기자]서울 강남 한복판의 빌딩에서 지난 13일 심각한 붕괴 위험 요인이 발견돼 입주업체들이 모두 대피한 가운데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건축물들이 공통적으로 시공이 부실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안전진단 기술원은 대종빌딩 사건 이후 안전진단 관련 방법과 가격을 묻는 전화가 20% 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동작구 상도유치원 붕괴 사고 직후에도 비슷한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 등에 따르면 규모가 작은 건물에 대해 좋은 인력과 자재가 적정한 시기에 충분히 공급되기 어려웠던 90년대에는 건물 공사가 잘 되고 있는지 감시하는 감리 제도가 없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부실공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김순환 윤리위원장은 “건물이 완공된 1991년 당시는 6공화국이 100만 가구 주택 건립을 추진하면서 폭발적으로 건축이 이뤄진 탓에 건축자재가 모자라 부실시공이 많았다”고 말했다.


당시 만연했던 부실공사 풍토가 대종빌딩에만 국한된 사안은 아닐 수 있다는 관측이다.


또한 지난 6월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되어 ‘15층 이하 소규모 건축물은 의무 정밀진단 대상에서 제외’였던 것에서 현재 ‘안전등급 C등급을 받은 15년 이상 노후 건물은 정밀진단 의무대상 포함’으로 변경됐다. 그럼에도 구청 조사 당시 육안점검에 그친 진단으로 대종빌딩은 B등급 판정을 받아 의무대상에서 제외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안전점검 의무대상 지정을 피해간 민간 건물이 상당수일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산화 작업이 2008년 이뤄져 그 이전 건물의 정보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각 구청의 협력을 받아 상당한 노력을 들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청 등 각 지자체도 이를 대장으로만 가지고 있을 뿐 전산화한 곳은 드물다고 전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